2025.07.24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과천 불법 주거용 비닐하우스

소방장비 지원 논란

화장장 찬반주민들간에 충돌이 벌어져 폭행시비가 일고 있는 등 본격적인 민민갈등을 예고하고 있다.

과천시의 주거용 비닐하우스에 대한 소방장비 지원 방침이 찬반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시는 주거용 비닐하우스의 잦은 화재로 발생하는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나 일부 주민들은 적·불법 가리지 않고 예산 투입하는 것은 잘못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8일 시와 소방서에 따르면 관내 주거용 비닐하우스는 564개동에 407세대 919명이 기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작물의 관리목적으로 법적으로 허용되는 15㎡ 이내를 넘는 부속 내지 전용 불법 주거용 비닐하우스는 3백50동이다.

이들 비닐하우스는 적법한 절차 없이 주거공간을 꾸며 소방사각지대에 놓여있다. 비닐과 스칠로폼, 합판 등 인화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데다 전기배선이 낡고 적정용량 미달의 불량전선이 난잡하게 연결돼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심지어 LPG통을 아무렇게나 방치해 사용하거나 가스레인지 연결호스도 제대로 설치 않아 가스폭발 우려가 높다. 반면 대부분 비닐하우스는 진입로가 협소, 조기진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지난 02~06년까지 5년간 전체 화재발생건수 중 비닐하우스 화재가 16%를 차지했고 이 기간 유일하게 사망자를 기록한 것도 주거용 비닐하우스였다.

화재는 올해도 이어져 지난 2월 2명의 사상자를 냈다.

지도점검에 한계를 느낀 소방서는 소방장비설치를 시에 건의했고 시는 집행부와 시의회와의 간담회를 거쳐 지원키로 방침을 정했다.

시가 설치할 소방장비는 564개동 전체에 화재경보기와 ABC 분말소화기로 소요예산은 4천여만원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 확정 단계는 아니지만 불법여부를 떠나 주민들의 생명이 더 소중하다는 인식하에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황모(45·과천동)씨는 “2월 화재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업에 열중, 대학입학을 앞둔 여학생이 사망했다는 소식에 무척 가슴 아팠다”며 “사람의 생명 이상 더 소중한 것이 이 세상에 어디 있겠느냐”고 찬성에 무게를 두었다.

하지만 과천사랑 카페 회원인 아이디 ‘바다’는 “시의회에서 처리한 둘째아 지원을 예산부족으로 한동안 처리하지 않은 시가 불법 시설물 지원은 왠지 떨떠름하다”고 했고 아이디 ‘삶의 자리’는 “정당하게 세금을 내고 거주하는 시민들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