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의 ‘민들레카드’사업이 돌출변수(突出變數)를 만났다.
이는 화훼 관련업계에서 생존권을 짓밟는 사업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업계는 사업의 즉각적인 중단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전국 화훼인 궐기대회’를 시청 앞에서 여는 등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고 주장했다.
시는 지난달 16일 승진, 기념일 등을 축하할 때 관례적으로 보내던 난, 화분 대신 축하받은 이의 명의로 복지시설에 기부해주는 ‘민들레 카드’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우선 전 직원 1천6백여명과 관내 3개 보육원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문제점을 보완, 내년부터 36개 복지시설과 기업체 등으로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그러나 한국화원협회 등 화훼업계에서는 “경기침체로 가뜩이나 어려운데 이 사업으로 어려움이 가중돼 생존권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며 사업 중단이나 완전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사업취지는 충분히 공감하나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관 주도로 화훼업계의 판로를 가로막는 시책을 추진하는건 말도 안된다“며 강력히 비난했다.
이들은 또 “민들레카드 사업은 화훼상품을 낭비요소로 보고 영세한 업계의 최소한의 생계유지마저 도외시한 안일한 행정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게다가 “주 고객이 관공서와 기업체인데 여타 시·군으로 이 사업이 파급되면 화훼관련업계의 도산사태가 줄줄이 일어날게 뻔하다”며 지적했다.
장순자 화원협회안양지부장은 “매출이 90년대보다 50%이상 줄어 근근이 생활하고 있다”며 “이 사업은 어려운 여건에서 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 업계에 찬물을 끼얹는 꼴”이라고 말했다.
김두식 화원협회회장은 “시 홈페이지에 사과문 게재 등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으면 30만 화훼종사자들과 힘을 합쳐 생존권 보호차원에서 강력한 실력행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화훼업계에 피해를 주려는 의도로 추진한 게 아니다”라며 “시범운영하고 있는 민들레카드 사업은 자율적인 참여로 이웃사랑을 나누기 위해 계획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