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내년 4월 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적용할 선거구획정기준을 둘러싸고 힘겨루기를 계속하면서 31일로 활동기간이 만료되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활동기간을 연장 혹은 특위 개편을 통해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지만 절충점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30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정개특위 간사인 새누리당 정문헌·새정치민주연합 김태년(성남 수정) 의원은 금명간 접촉을 갖고 최대 쟁점인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원 비율 문제를 놓고 이견 조율에 나설 예정이다.
하지만 각 당이 기존 입장에서 양보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합의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여야가 31일 열기로 잠정 합의한 정개특위 산하 선거법심사소위원회의 개최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여야는 국회의원 정수를 현행 300명으로 유지하되, 최대 쟁점인 지역구와 비례대표 비율은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정하도록 잠정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인구증가와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른 선거구 인구편차 조정(현행 3대1→2대1)으로 인해 현재246명인 지역구 의원 수 증가가 불가피하므로 지역구의원이 늘어나는 만큼 비례대표 의원 수(54명)를 줄이자는 입장인 데 비해 새정치민주연합은 비례대표를 늘리거나 최소한 유지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정개특위에서 선거구획정 문제가 타결되지 않으면 직접 만나 타결을 시도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면서 ‘정치적 해법’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김 대표는 전날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선거구 획정 문제를) 정개특위에서 가능한 한 합의될 수 있도록 협상을 더 해보고, 타결되지 않으면 결국 당 지도부들이 만나 일괄타결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도 이날 경남 고성지역을 방문,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선거구획정 기준을 둘러싼 여야간 협상 난항과 관련, 양당 대표가 직접 만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김 대표는 지역구 의원수 축소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인 데 비해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여전히 ‘접점’을 찾기는 어려운 게 아니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