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워도, 또 치워도 끝이 없습니다. 대부분 중국에서 온 쓰레기입니다.”
지난해 5월 인천의 첫 국가 생태관광지역으로 선정된 서해 최북단 백령도가 해양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을 해안가 곳곳에 쌓여 있는 해양쓰레기가 맞이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침이 없을 정도다.
일자리 사업을 통해 주민들이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지만 치우는 것보다 쌓이는 속도가 더 빠르다. 인천시의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주민들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14일 인천시·옹진군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해양쓰레기는 해외기인(중국), 해상기인(폐어구·폐그물), 육상기인(한강 하구 쓰레기)으로 나뉜다.
이 중 백령도 해안가에 밀려드는 쓰레기는 대부분 해외기인, 해상기인이다.
특히 진촌리 어릿골‧하늬해변에 쌓인 쓰레기 80%는 중국 대륙·어선에서 떠내려왔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백령도 주민 심효신(59)씨는 “해안가에 있는 폐어구 부이와 페트병, 스티로폼 등에 전부 중국어가 표기돼 있다”며 “주민들이 쓰레기를 수거해도 육지 반출은 하세월이다. 그 사이 해안에 쓰레기는 계속 쌓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외교적으로 해결하든, 민간을 통해 쓰레기를 제때 반출하든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주민들과 논의해 해양쓰레기 전용 소각장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옹진군은 지난해 섬 지역 해안에 방치된 쓰레기를 반출·처리하기 위해 10억 원을 썼다.
하지만 백령도는 육지와 거리가 멀어 매년 1~2차례 바지선으로 쓰레기를 반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난해부터 조업활동 중 건진 쓰레기를 수매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실적은 거의 없는 상태다.
백령도에 해양쓰레기를 처리할 소각장을 짓기도 쉽지 않다.
현재 백령도 소각장의 용량은 1시간 당 0.5톤 규모다. 생활쓰레기만 처리하기에도 벅차다. 소각장 용량을 0.9톤으로 늘리기 위해 설계 용역을 진행 중이지만 해양쓰레기는 염분이 많아 일반 소각할 수 없다.
사실상 비용을 들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육상 반출 후 소각을 서두르는 게 유일한 방법인 셈이다.
시 관계자는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대비한 신규 소각장에서 해양쓰레기도 함께 처리할 방법을 검토하고 있지만 염분 때문에 쉽지 않다”며 “지금은 섬 지역 쓰레기를 육지로 반출해 시설을 갖춘 민간 소각장에서 처리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양쓰레기 수거를 늘리기 위해 해양환경정화선 1척을 추가 건조할 계획이다. 올해 해양쓰레기 수거 사업 예산도 지난해보다 43억 원 늘려 147억 원을 투입한다”며 “국비 지원을 받아 ‘스마트 해양환경관리 플랫폼’을 구축해 효율적인 해양쓰레기 수거·관리 체계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조경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