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9일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이후 발생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불법 폭력사태에 대해 “용납될 수 없다”며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다만 이번 사태 후속 조치에 따른 처벌대상으로 국민의힘은 경찰을, 더불어민주당은 尹 대통령 지지자들을 지목하며 이견을 보였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긴급비대위회의를 열고 “이런 불법 폭력행위는 그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통령을 위하는 일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권 위원장은 “더 이상 물리적인 충돌, 물리적인 폭력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자제해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한다. 국민의힘은 모든 종류의 폭력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선을 그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어려운 상황에서도 합법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는 자제력을 발휘하자”며 “합법의 테두리 안에서 의견을 전개해야 더 많은 시민의 공감을 얻을 수 있고 제도 개선을 이루어낼 수 있다”고 당부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새벽 5시 4분, 오전 10시 긴급비대위회의, 오후 3시에 걸쳐 관련 메시지를 내고 지지자와 당원에게 물리적 충돌을 자제해 줄 것을 거듭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낮 긴급입장발표를 통해 “서부지법 난동 사태는 사법부 체계를 파괴하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도 오후 국회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수백 명의 극우시위대가 공수처 차량을 습격하고 수사관을 폭행했다”며 “서부지법 안으로 무단 난입해 기물 파손, 폭력 행사, 영장발부 판사를 찾아 잡으러 다녔다. 매우 충격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법부와 수사기관에 대한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폭력행위는 자유민주주의의 근간과 법치질서를 심각하게 무너뜨리는 행위로 용납해선 안 될 중대범죄”라고 비판했다.
김성회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내고 “전례를 찾을 수 없는 폭동사태에 입을 다물 수 없다”며 “주동자와 난입 폭도, 배후세력들을 모두 검거해 법의 심판을 받게 해서 다시는 내란세력이 나라를 흔들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그러나 여야는 불법폭력사태 관련 처벌 대상에 대해 엇갈린 입장을 내놨다. 권 원내대표는 “어제의 현장은 폭력의 책임을 시위대에 일방적으로 물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강력히 요청한다. 민노총 등 다른 불법 집회에서 볼 수 없었던 경찰의 과잉 대응, 폭력행위에 대해 충분한 진상을 규명해 달라”고 요청했다.
반면 박 원내대표는 “최 대행은 헌법기관에 대한 불법 폭력사태를 부추기는 자가 그 누구든 법과 원칙에 따라 권용 없이 처벌함으로써 공권력의 권위를 회복하라”고 재촉했다.
같은 당 김병주(남양주을) 의원도 SNS를 통해 “최 대행에게 촉구한다. 초법적 난동을 부린 이번 폭력행위를 즉각적이고 단호하게 대응하라”며 불법 폭력사태에 참여한 지지자들에 대한 엄중 처벌을 요구했다.
앞서 이날 오전 3시쯤 서울서부지법이 증거인멸 가능성 등을 이유로 윤 대통령에게 구속영장을 발부하자 서울서부지법을 둘러싸고 시위를 벌이던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법원 경내로 난입했다.
이 과정에서 지지자들은 법원 정문과 유리창을 깨부수며 진입했고, 난입 후에는 소화기 등을 던지며 법원 내 유리창과 집기 등을 부쉈다. 이에 경찰은 대규모 경력을 투입해 내부에 진입한 지지자들을 모두진압해 총 86명을 현행범으로 체포했다.
[ 경기신문 = 김재민·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