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하기 좋은 도시 김포시가 환경 보호와 기업 지원을 동시에 잡는 체계적 환경정책 가동에 두 팔을 걷고 나섰다.
6일 시는 지역과 함께 기업이 발전해 균형있는 환경이 발전할 수 있도록 기업환경준수지원에 앞장서고 현장에 필요한 교육컨설팅을 촘촘히 시행하는 등 인프라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최신환경기술 도입이나 방지시설 개선을 돕는 ‘찾아가는 교육컨설팅 SOS 상담반 운영’과 ‘방지시설 지원사업’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환경보호를 동시에 이끌어 오고 있다.
지난해 김포시는 총 206건의 SOS 상담반 컨설팅을 진행, 3천650개소에 온라인 및 집합 교육을 실시 하는 등 2023년 286개소, 2024년에는 164개소의 가동개시 신고를 한 배출시설 사업장 현장 방문을 진행했다.
또한, 3년 이상 된 방지시설을 운영하는 4·5종 사업장에 대해 교체 비용의 90%를 지원하는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지원사업’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지속해 나가고 있는데, 올해는 362개 시설에 약 13억원 규모의 지원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밖에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 대응도 앞장서고 있는 시는 2050년 탄소중립실현을 목표로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100만 톤 이상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친환경 자동차 보급과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291억원을 투입해 친환경 자동차 2,928대를 보급하며, 79개소에 237kW의 태양광을 설치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탄소중립포인트제 및 다양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 추진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시민들의 공감대 확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국가어항으로 선정된 대명항의 첫 변화를 이끌 어촌뉴딜 300사업이 올해 마무리되는 부분이다.
대명항의 시설 개선 및 관광 인프라를 강화하는 이 사업은 약 24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진행되어 왔고, 이를 통해 수산물판매장 신축, 분수조형물 설치, 문화광장 조성, 가로경관 정비 등이 진행된다.
수산물 판매 환경이 현대화되고 관광 인프라가 강화되는 사업이 완료되면 연간 방문객 수가 현재 50만 명에서 8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500명 이상의 고용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또 김포시는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관내 생활폐기물의 적정 처리를 위해 600톤 일 규모의 친환경 자원회수센터(소각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두 차례의 입지후보지 주민공고를 통해 3곳의 후보지를 선정했고, 2024년 8월에는 입지타당성 조사와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완료하여 1순위 입지후보지를 선정했다. 현재 최종 입지결정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며 2027년 공사 착공을 목표로 2030년 준공을 계획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천용남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