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흥도 에코랜드 부지가 텅 비어있다.
자체 쓰레기매립지 조성이 무산되며 부지 매입비 617억 원의 가치도 잃은 지 오래다.
그럼에도 매년 4000~5000만 원이 유지보수 비용으로 들어간다.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위한 해결책에서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한 상황이다.
유정복 시장은 에코랜드 부지의 활용방안을 재정립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하지만 민선8기 임기 후반기에 들어선 현재까지 성과는 없다.
내년 6월 지방선거의 막이 오르는 만큼 유 시장에겐 사실상 올해가 에코랜드 부지 활용방안을 찾아야 하는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
매립지 정책 둘러싼 ‘민선7기→민선8기’ 변화
에코랜드 부지는 옹진군 영흥면 외리 248의 1 일대 89만 486㎡ 규모다.
지난 2021년 4월 박남춘 시정부에서 자체 쓰레기매립지 조성을 목적으로 617억 원을 내고 매입했다.
당시 박 시장은 더 이상 서울시와 경기도의 쓰레기까지 인천이 감당할 수 없다며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을 주장했다.
각 지역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자체 처리하자는 것으로, 수도권매립지 운영 시점도 2025년까지로 못 박았다.
당시 인천시는 에코랜드 전체 부지 중 24만㎡에 쓰레기매립지를 조성하고, 나머지 약 65만㎡에는 관광시설, 홍보관, 편의시설, 운동시설, 산책로 등을 설치하겠다는 구상을 세웠다.
또 20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는 만큼 소각시설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 소각재를 재활용한 뒤 남은 잔매물과 불연성 폐기물은 매립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2022년 6월 지방선거에서 박 시장이 낙선하며 상황이 급변했다. 민선8기를 이끌게 된 유정복 시장이 쓰레기매립지 정책을 뒤집었기 때문이다.
유 시장은 자체매립지가 수도권매립지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에코랜드 조성사업을 전면 백지화했다.
이로써 600억대의 가치를 가졌던 에코랜드는 한순간에 골칫거리 신세로 전락하게 됐다.
활용방안 계획만 수두룩
민선8기에 들어선 인천시는 2023년부터 에코랜드 부지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팔을 걷었다.
인천연구원에 ‘영흥 공공사업 추진부지 활용 방안 연구’ 용역을 의뢰하며 수요조사도 진행했다.
수요조사 결과 인천식물원, 반려동물 테마파크, 관광단지, 농·수산 경제단지, 신재생에너지 기반 산업클러스터 등이 제시됐다.
하지만 용도 변경과 접근성·수익성 등의 문제에 가로막혀 확정까지 가지 못했다.
특히 폐기물처리시설로 지정된 부지 용도를 더 넓게 쓰기 위해선 일반재산으로 변경이 필요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2차 수요조사를 진행하며 부지 용도를 변경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 과정에서 행정재산에 대한 용도 폐지를 하지 않고도 가능한 활용방안들이 제시되며 미뤄졌다.
현재 부지 활용에 가장 사활을 걸고 있는 곳은 옹진군이다. 문경복 옹진군수는 지난해부터 이 부지에 친환경 양식시설과 가공·유통·물류 단지를 건립하겠다는 입장을 변함없이 드러내고 있다.
문 군수는 경기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 군은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며 “친환경 양식시설과 가공·유통·물류 단지 건립을 위해 시와 계속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미룬 2차 수요조사를 올해 재개한다는 입장이다. 이미 지난 2일 인천시 각 부서와 산하기관 및 군·구에 수요조사 공문을 보냈다.
4월 4일까지 계획안을 제출받은 뒤 검토를 거쳐 활용방안을 정할 계획이다.
부지 용도도 활용방안이 정해진 뒤 변경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2차 수요조사를 재개한 만큼 다양한 활용방안을 받아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