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각자 자유롭게 여행을 즐기는 ‘개별자유여행객’(FIT: Free Independent Travelers)을 적극 유치하기 위해 ‘3.3.5.5 전략’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3.3.5.5 전략은 ▲도 방문 비율 10%→30% ▲평균 체류일 2.13일→3일 ▲1인당 지출액 35만 원→50만 원 ▲재방문율 34%→50% 달성을 목표로 한다.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에 따르면 외래관광객 중 FIT 비율은 지난 2019년 77.1%에서 지난해 80.5%로 늘었으나 같은 기간 도 방문 비율은 14.9%에서 약 10%로 하락해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도는 지난 3월부터 가천대학교, 경기연구원, 경기관광공사, 한국관광공사 등 전문가와 공동 연구를 진행해 ‘경기도 개별자유여행객 대응 전략’을 수립했다.
대응 전략은 ▲접근성 향상 ▲관광 콘텐츠 개발 ▲홍보·마케팅 강화 ▲관광 거버넌스 구축 등 4대 추진전략과 18개 정책과제로 구성됐다.
접근성 향상 방안으로는 ▲셔틀·당일투어 확충 ▲관광택시 운영 ▲서울 거점 ‘경기관광 안내센터’ 조성 ▲외국인 대상 스마트 관광 기반 구축 ▲숙박 인프라 규제 개선 등이 포함됐다.
관광 콘텐츠 개발 전략은 ▲외국인 대상 경기투어패스 개발 ▲특화체험 콘텐츠 개발 ▲DMZ 관광 활성화 ▲외국인 대상 캠핑 관광 상품 개발 ▲산업관광 활성화 지원 등으로 이뤄졌다.
홍보·마케팅 강화 전략에는 ▲도 글로벌 통합브랜드 구축 ▲옥외광고물을 활용한 홍보 ▲온라인 홍보 채널 운영 ▲MZ세대 맞춤 콘텐츠 마케팅 ▲FIT 대상 마케팅 강화 등을 담았다.
이밖에도 도는 도·시군·경기관광공사·관광업계·연구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꾸리고 서울·인천과 연계한 수도권 초광역 관광 협의체 구성을 추진해 국제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부터 실행 가능성이 높은 FIT 대응 전략 과제를 신규 사업으로 편성하고 숙박 인프라 확충 관련 규제 완화 방안을 중앙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장향정 도 관광산업과장은 “FIT 친화적 환경을 선도적으로 혁신하고 질 높은 관광 콘텐츠를 육성해 외래관광객들이 도의 자연경관, 역사유적, 도시문화 등을 특별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전략은 지난달 15일 열린 ‘2025년 제1회 경기도 문화관광발전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 경기신문 = 김우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