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주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고, 기업 유치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12월 운정신도시 인근 교하동 일대에 바이오·디스플레이·미디어콘텐츠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한 ‘파주 경제자유구역 기본구상(안)’을 마련했다.
이를 토대로 올해 4월 경기경제자유구역 후보지로 최종 선정된 바 있다.
시는 우선 제3회 추가경정예산에 용역비를 편성해 차별화된 개발계획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다.
아울러 오는 11월 3대 전략산업 관련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한 ‘파주경제자유구역 설명회’를 시작으로 적극적인 투자유치 활동을 벌여 나가며 파주경제자유구역 입주 수요를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현 시점에서 실질적 목표는 2027년까지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을 완료한다는 것이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기업과 국내 복귀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특별경제구역이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 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공장총량 등 법적 규제가 완화되며, 입주기업은 조세 감면, 보조금 지원, 입지 지원 등 행정·재정적 혜택을 통해 안정적인 경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경제자유구역은 주거단지, 관광단지, 체육시설 등 복합개발이 가능하며, 수도권 내에서 외국교육기관 설립이 허용되는 사실상 유일한 구역으로 교육·의료 등 생활 기반시설 개선에도 큰 효과가 기대된다.
김경일 시장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첨단산업 중심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제학교·국제대학·종합병원 유치 등 정주환경을 개선해 100만 자족도시로 도약하겠다”라며 “접경지역의 한계를 기회로 전환해 경기 서북부를 대표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거점 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은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