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구독 경제 피곤해요”…떠나는 소비자 잡는 ‘구독 콜라보’

이종(異種) 결합 구독, 포화 구독 시장 돌파구
OTT·배달앱·편의점, 결합으로 고객 락인 강화

 

구독 서비스가 넘쳐나는 시대, OTT부터 배달, 쇼핑, 음원까지 매달 빠져나가는 고정비가 부담으로 다가오면서 소비자들의 ‘구독 피로감’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해지 버튼을 누르는 손길을 붙잡기 위해 새로운 전략으로 ‘구독 결합(콜라보)’에 주목하고 있다. 전혀 다른 업종의 서비스를 묶어 혜택을 확대하고, 동시에 소비자를 자사 플랫폼에 묶어두려는 시도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배달앱 ‘배달의민족’은 넷플릭스와 손잡고 구독 결합 상품을 내놨다. 지난 6월 티빙과의 결합 이후 두 번째 사례로, 배민1과 넷플릭스를 할인된 가격에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장에서는 이를 두고 “소비 습관을 그대로 상품화한 전략”이라고 평가한다. 단순히 할인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퇴근 후 집에서 음식을 주문하고 영화를 보는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하나의 상품으로 묶어 ‘생활 전반’을 점유하는 구독 모델이라는 설명이다.

 

쿠팡 역시 대표적인 결합 구독 성공 사례로 꼽힌다. 월 7890원의 ‘와우 멤버십’에는 로켓배송 무료, 쿠팡이츠 무료 배달, OTT ‘쿠팡플레이’까지 포함돼 있다. 소비자는 장을 보고, 저녁을 배달 주문하고, 그 자리에서 영화를 보는 일상을 하나의 멤버십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 유통사 관계자는 “배달앱마다 무료 배달·할인은 기본 혜택이 돼 경쟁 우위를 만들기 어렵다”며 “OTT 같은 결합 혜택은 소비자를 한 플랫폼에 묶어두는 장치”라고 말했다.

 

통신업계도 생활밀착형 구독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SK텔레콤은 구독 플랫폼 ‘T 우주’를 통해 스타벅스, 이마트24, 올리브영을 묶은 상품을 내놨다. 월 9900원으로 스타벅스 음료 20% 할인, 편의점·헬스&뷰티 스토어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전국 1만여 개 매장에서 쓸 수 있어 20·30대 생활 패턴을 정조준했다는 평가다.

 

이처럼 OTT·배달·유통·통신이 뒤섞인 구독 결합은 단순 마케팅을 넘어선 ‘생존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신규 고객 확보가 어려운 포화 시장에서 다양한 혜택을 통해 기존 고객의 이탈을 막는 ‘록인(lock-in)’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결합 구독을 통해 고객에게 단순한 할인 혜택을 넘어선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각 사의 고객 데이터를 결합해 더 정교한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성장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는 모빌리티와 여행, 건강식품과 운동 서비스처럼 더 다양한 분야에서 결합 구독 모델이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