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화성 오토랜드에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전용 공장을 준공하며 화성특례시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지난 14일 열린 ‘기아 PBV 전용공장 준공 및 기공식’에서 “화성이 명실상부한 미래 모빌리티 중심도시로 도약했다”며 “기업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중형 PBV를 생산하는 제4공장(EVO Plant East)의 준공과, 대형 PBV 생산을 위한 제5공장(EVO Plant West)의 기공을 함께 기념한 이날 행사에는 정·관계와 산업계를 아우르는 200여명의 인사가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PV5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기아의 PBV 전략 발표를 청취했다.
정 시장은 행사장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국가수출항 ‘(가칭)화성항’ 신설을 건의하기도 했다. 포화 상태의 평택·당진항 물류난을 해소하고, 기아를 비롯한 자동차 산업 수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다.
기아는 PBV 전용생산체계 구축을 위해 총 30만㎡ 규모 부지를 확보하고 시설·R&D에 약 4조 원을 투자한다.
PBV(Purose Built Vehicle 목적기반차량은 특정 목적에 맞춰 설계된 전기 차량을 말한다.
택배·이동식 사무실·셔틀·택시·휠체어 탑승 차량(WAV) 등 활용 방식에 따라 다양한 차체와 구조로 제작된다.
연간 10만대 생산이 가능한 East 공장은 이날부터 PV5 양산에 돌입했으며, West 공장은 2027년 PV7·PV9 생산을 목표로 공사가 추진 중이다.
기아는 PV5(중형), PV7·PV9(대형) 등 모듈형 PBV 라인업을 통해 도시 물류·교통 시장의 변화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정부의 RE100 정책에 맞춰 인근 국유지 34만㎡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화성툭례시는 이번 준공이 신속한 인허가 체계와 산업 인프라, 기업 친화 행정이 뒷받침한 결과라며, 기반시설 확충과 교통 인프라 개선을 포함한 지속적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시는 동부권 K-반도체 벨트, 서해안권 K-미래차 클러스터, 남부권 K-바이오 등 20조원 규모의 첨단산업 투자를 바탕으로 “기업 성장과 시민 삶이 함께 진화하는 지속가능한 미래도시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