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10.0℃
  • 맑음강릉 12.5℃
  • 구름많음서울 9.8℃
  • 맑음대전 11.9℃
  • 맑음대구 12.6℃
  • 맑음울산 14.8℃
  • 맑음광주 12.9℃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1.9℃
  • 구름조금제주 13.6℃
  • 구름조금강화 9.0℃
  • 맑음보은 10.1℃
  • 맑음금산 11.7℃
  • 맑음강진군 13.3℃
  • 맑음경주시 13.6℃
  • 맑음거제 12.2℃
기상청 제공

고환율·관세 인상에…수출 대기업 자금사정 ‘빨간불’

원자재·설비투자가 가장 큰 부담
내수 부진까지 겹쳐 체력 소진 우려

 

국내 주요 수출 제조 대기업들의 올해 자금사정이 개선된 곳보다 악화된 곳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환율과 관세 인상 등 대외 리스크가 자금 흐름을 옥죄면서 기업 현장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6일 매출 1000대 수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금사정 인식 조사’(111개사 응답)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자금사정이 작년보다 나빠졌다”는 응답은 27%로, “호전됐다”(23.4%)는 비율을 앞질렀다. “비슷하다”는 답변은 절반 수준(49.6%)이었다.


자금사정 악화의 가장 큰 이유로는 매출 부진(40.0%)이 꼽혔다. 이어 원재료비 등 제조원가 상승(23.3%), 금융기관 차입비용 증가(11.1%) 등이 뒤를 이었다. 경기 둔화와 원가 압박이 동시에 기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기업들이 꼽은 현재 가장 큰 글로벌 리스크는 단연 환율 상승(43.6%)이었다. 보호무역 확산·관세 인상(24.9%), 미·중 등 주요국 경기 둔화(15.6%), 공급망 불안(9.6%) 순으로 응답이 이어졌다. 


재무 건전성을 보여주는 부채비율 역시 “증가했다”(20.7%)는 응답이 “감소했다”(12.6%)보다 많았다. 10곳 중 6곳(66.7%)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했지만, 전반적인 재무 부담이 커지는 분위기다.


기업 3곳 중 1곳(32.4%) 이상은 올해 자금 수요가 늘었다고 답했다. 수요가 가장 많은 분야는 ▲원자재·부품 매입(35.7%) ▲설비투자(30.7%) ▲R&D(15.3%)였다. 특히 AI 도입·활용 관련 자금 수요가 늘었다는 응답이 18.9%로, 감소했다는 응답(8.1%)의 두 배를 넘었다.

 
기업들은 정부에 ▲환율 변동성 완화(29.5%) ▲수출·투자 불확실성 해소(17.1%) ▲공급망 다변화를 통한 원자재 안정 확보(16.8%) ▲탄력적 금리 조정(16.2%) 등을 요구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관세 인상과 고환율이 내수 부진과 겹치며 기업 자금사정의 어려움이 여전하다"며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와 함께 세제 지원·규제 완화를 확대해 기업이 AI 전환 등 미래 투자를 위한 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