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원 국회의원(더민주·수원갑)이 16일 “미얀마 민주화가 이루어지는 그날까지 함께 하겠다”고 단언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4시 수원시 장안구에 있는 자신의 지역사무실에서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미얀마인 4명과 함께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는 박옥분 경기도의회 의원도 참석했다. 이날 이라와디 등 미얀마 현지 매체와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연합(AAPP)에 따르면, 미얀마에서는 국민의 반(反) 쿠데타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군부는 지난 15일 하루 동안만 시위 지도자와 연예인, 의사 등 30여 명을 잡아들일 정도로 여전히 무자비한 진압을 일삼고 있다. 이 같은 무력진압 탓에 지난 2월 1일 쿠데타 발생 후 군경의 총과 폭력에 국민 726명이 목숨을 잃고, 3100여 명이 체포됐다. 이에 미얀마 노동단체들까지 나서 파업을 주도하고, 국민의 반 쿠데타 시위에 힘을 보태고 있다. 하지만 미얀마 군경은 국민을 향해 최루탄과 고무탄은 물론 실탄을 마구 발포해 시위를 진압하고 있다. 시위 현장 등에서 잡아간 국민의 등을 쇠사슬로 때리고, 고문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다. 이 때문에 군경에 붙잡혀 갔다가 시신으로 돌아온 국민의 수가 계속 늘고
“미얀마 시민들의 평화적 시위를 보장하고 민주화 조치를 즉각 이행하라.”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은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을 살상하고 무력으로 시위를 진압하는 미얀마 군부를 규탄한다며 성명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은 군사정권의 강압통치에 저항하다 사망한 민주열사들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해 알리는 곳이다. 이들은 “작년 11월 총선에서 (미얀마)국민들의 선택은 어떤 이유로도 부정할 수 없는 민주주의의 진전이다”며 “오랜 식민지배와 군사정부를 인내한 국민들의 염원이 실현되는 것이다”고 전했다. 이어 “그러나 군부는 국민의 선택을 부정하며 쿠데타를 자행핬고, 이에 저항하는 시민들의 평화로운 시위를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벌어지고 있는 미얀마 시민들의 민주화 열망은 이곳에 잠들어 있는 민주열사들의 뜻과 다르지 않다”며 “미얀마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지지한다”고 뜻을 전했다. [ 경기신문 = 박한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