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만화연대(회장 고경일)가 군부 탄압에 맞서 투쟁 중인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살려내기 위한 마음을 담아 전시를 개최한다. 펜으로 연대를 선언한 우리만화연대는 미얀마가 학살 없는 일상을 되찾길 바라는 마음으로 24일부터 10월 8일까지 서울시 중구 한길사뮤지엄에서 ‘미얀마를 살려내라’ 전시를 선보인다. 고경일 우리만화연대 회장은 “이번 전시는 곧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살려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출품한 작가들은 한반도의 민주주의를 날카롭게 검증하는 ‘잠수함의 토끼’의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소개했다. 고 회장이 출품한 작품을 보면 군부가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있는 사람을 총으로 쏘는 모습이다. 사람이 아닌 한 송이의 꽃이 꺾이는 형상으로 표현했으나 참혹한 현실은 고스란히 드러난다. 미얀마 국기를 배경으로 한 이정헌 작가의 ‘미얀마에 자유를’ 작품 속에는 투쟁 의지를 불태우는 시민들과 앞에 서서 그들을 보호하고 있는 종교인들의 모습이 담겨있다. 최정규 작가는 지난 3월 군부의 총탄에 맞고 사망, 저항의 상징이 된 19세 소녀 치알신을 그렸다. 작품명은 치알신이 당시 상의에 적었던 메시지 ‘모든 것이 잘 될 것(everything will be ok)’과
미얀마 군부 쿠데타가 발생한지 이날로 149일째. 이후 미얀마 곳곳에서 민주화 시위가 벌어지는 가운데 총격 등 무력진압으로 인한 유혈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우리나라에서 일어났던 1980년 5월 당시 광주민주항쟁을 기억하는 이들이 현재 미얀마의 상황이 우리와 닮았다며 전국 곳곳에서 미얀마 민주주의를 응원, 지지하는 연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수원시에서는 현재 경기아트센터와 미얀마민주주의네트워크, 푸른아시아센터가 주최한 ‘미얀마의 봄, 두 번째 이야기 평화사진전’이 경기아트센터 광장에서, SPA 현장미술작가들이 뭉친 ‘미얀마 민주시민 지지를 위한 SPA 미술전’이 행궁동 카페 단오에서 진행 중이다. 미술전시나 외신 사진에서 종종 얼굴에 분칠을 한 미얀마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작품을 보며 문득 '미얀마 사람들이 얼굴에 바른 게 뭘까?'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이는 미얀마의 전통 화장품 타나카로, 만달레이(Mandalay)를 비롯한 중부지역에서 주로 나는 타나카 나무 뿌리와 줄기를 곱게 갈아서 걸쭉하게 만든 것이다. 벼루처럼 생긴 평평하고 둥근 돌판 차욱핀(Kyauk Pyin)에 물을 뿌려가며 갈면 우유빛 혹은 베이지색 액체가 생긴다. 오랜 전통으로
김승원 국회의원(더민주·수원갑)이 16일 “미얀마 민주화가 이루어지는 그날까지 함께 하겠다”고 단언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4시 수원시 장안구에 있는 자신의 지역사무실에서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미얀마인 4명과 함께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는 박옥분 경기도의회 의원도 참석했다. 이날 이라와디 등 미얀마 현지 매체와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연합(AAPP)에 따르면, 미얀마에서는 국민의 반(反) 쿠데타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군부는 지난 15일 하루 동안만 시위 지도자와 연예인, 의사 등 30여 명을 잡아들일 정도로 여전히 무자비한 진압을 일삼고 있다. 이 같은 무력진압 탓에 지난 2월 1일 쿠데타 발생 후 군경의 총과 폭력에 국민 726명이 목숨을 잃고, 3100여 명이 체포됐다. 이에 미얀마 노동단체들까지 나서 파업을 주도하고, 국민의 반 쿠데타 시위에 힘을 보태고 있다. 하지만 미얀마 군경은 국민을 향해 최루탄과 고무탄은 물론 실탄을 마구 발포해 시위를 진압하고 있다. 시위 현장 등에서 잡아간 국민의 등을 쇠사슬로 때리고, 고문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다. 이 때문에 군경에 붙잡혀 갔다가 시신으로 돌아온 국민의 수가 계속 늘고
미얀마에서 지난달 1일 쿠데타 이후 22일(현지시각)까지 군경의 폭력으로 사망한 사람이 250명이라고 미얀마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가 밝혔다. 협회는 이 숫자는 협회가 확인한 숫자로, 실제 사망자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현지에서 올린 SNS를 보면 군경이 시신을 유기하는 장면을 담은 동영상 또는 사진이 적지 않고, 시위에 나선 이들 중 소식이 닿지 않는 등 행방불명 된 시민이 나오고 있다는 현지매체의 보도 역시 이러한 예상을 뒷받침한다. 또한 사망자는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소수민족까지 합류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 내전으로까지 번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중에 군경이 시민들을 상대로 기관총을 발사하고 있다는 증언 역시 전해지는 상황이다. SNS에는 기관총에나 사용되는 길이 12.7㎝의 탄피 사진이 올라왔다. 한 네티즌은 총알이 중기관총 또는 대구경 저격용 소총에 사용된다면서 "이런 총알이 민간인을 대상으로 사용돼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만달레이에서 전날 밤 기관총을 발사하는 소리라며 올라온 동영상도 SNS에 적지 않다. 미얀마 시민들은 군부 쿠데타를 막기 위해 국제사회의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미얀마 시민들의 평화적 시위를 보장하고 민주화 조치를 즉각 이행하라.”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은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을 살상하고 무력으로 시위를 진압하는 미얀마 군부를 규탄한다며 성명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은 군사정권의 강압통치에 저항하다 사망한 민주열사들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해 알리는 곳이다. 이들은 “작년 11월 총선에서 (미얀마)국민들의 선택은 어떤 이유로도 부정할 수 없는 민주주의의 진전이다”며 “오랜 식민지배와 군사정부를 인내한 국민들의 염원이 실현되는 것이다”고 전했다. 이어 “그러나 군부는 국민의 선택을 부정하며 쿠데타를 자행핬고, 이에 저항하는 시민들의 평화로운 시위를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벌어지고 있는 미얀마 시민들의 민주화 열망은 이곳에 잠들어 있는 민주열사들의 뜻과 다르지 않다”며 “미얀마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지지한다”고 뜻을 전했다. [ 경기신문 = 박한솔 기자 ]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지지합니다! 미얀마의 봄을 응원합니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로 시민들의 유혈사태가 계속되는 가운데 미얀마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치권, 시민단체의 연대 움직임이 문화계까지 확산됐다. 경기아트센터(사장 이우종)는 지난 14일 소극장에서 재한 미얀마 학생회 공연 ‘미얀마의 봄’을 개최했다. 이번 공연은 최근 미얀마에서 벌어지고 있는 민주화 운동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경기아트센터가 주최, 재한 미얀마 학생회가 주관했으며,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미얀마 학생들이 직접 무대에 올라 민주화에 대한 염원을 노래했다. 서울대학교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에에띤 교수는 개회사에서 “미얀마에는 ‘좋은 친구가 있으면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대한민국 국민여러분 미얀마 봄날의 혁명에 지금처럼 좋은 동지가 되어 끝까지 함께해주시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얀마인 2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재한 미얀마 학생 20여 명이 직접 무대에 올라 공연 영상, 노래, 시낭송, 연극 등을 통해 미얀마의 상황을 전하는 방식으로 75분 정도 진행됐다. 특히 군복을 입은 군인이 시민들에 무자비한 폭력을 가하는 모습은 현 사태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듯
“미얀마의 민주주의가 군부독재 세력에 의해 피로 물들고 있습니다. 이것은 곧 아시아 민주주의의 위기입니다.” 생명평화 미술행동은 15일 서울 용산구 미얀마 대사관 앞에서 자국 민주화를 위한 시위에 나선 주한 미얀마 교민들과 함께 군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모인 20여 명의 작가들은 걸개그림과 피켓 등을 들고 “2021년 미얀마는 1980년 광주”라고 외쳤다. 홍성담 작가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40여년 전 1980년 5월 광주에서 저지른 한국의 군부독재 학살행위를 2021년 미얀마의 군사정권은 판에 박은 듯 똑같은 학살 만행을 자행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박재동 화백은 “지구촌을 한 식구로 여겨야 하는 이 시대에 당연히 같이 아파하고 분노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1980년 광주와) 똑같은 상황이라 절실하다”며 “우리 예술인들이 조금이라도 격려하고 힘을 보태고 싶어서 모였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모든 통신이 통제돼있던 과거 광주와는 달리 미얀마의 경우 SNS를 통해 현 상황이 전 세계에 알려지기 때문에 도울 수 있다는 게 다행이라고 이야기했다. 특히 박 화백은 “탄압과 학살을 당장 멈추라는 강력한 경고”라고 강조했다. 홍성담 작가는 “
정부가 미얀마 측에 군용물자 수출을 금지하는 등 제재조치를 단행한다. 군부 쿠데타 이후 군과 경찰 당국의 무력행사로 인해 시위에 나선 시민들의 희생이 잇따르자, 정부가 실질적 대응조치에 나선 것이다. 외교부와 국방부, 경찰청 등은 12일 합동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앞으로 미얀마 측과 국방과 치안분야 신규 교류와 협력을 중단하고, 미얀마에 대한 군용물자 수출 역시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2019년 1월 이후 미얀마에 대한 군용물자 수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거듭된 요구에도 불구하고 미얀마 군과 경찰 당국의 무력행사로 다수의 희생자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최루탄 등 시위진압 장비를 포함한 산업용 전략물자 수출 허가도 엄격하게 심사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미얀마에 대한 개발협력 사업을 재검토하고, 국내 체류중인 미얀마인들이 현지 정세가 안정될 때까지 국내에 체류할 수 있도록 인도적 특별 체류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미국 등 주요 우방국과 아세안 등 다른 국가들과 긴밀히 협의해 미얀마 민주주의 회복에 기여하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교민의 안전과 진출 기업 보호 조치도
1962년부터 53년간 군부 독재가 이어져 온 미얀마. 군정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1988년 8월 8일 이른바 ‘8888 항쟁’을 일으켜 민주화 열망을 드러냈지만, 군부 쿠데타와 유혈진압으로 인해 죄 없는 국민 수천 명이 목숨을 잃은 채 끝내 민주화는 이루지 못했다. 이를 계기로 군부와 대척점에 서게 된 아웅산 수치 여사는 1989년부터 가택 연금됐다. 그런데도 이듬해 총선에서 수치 여사가 결성한 민주주의민족동맹(NLD)가 82%의 지지로 압승했다. 군부는 선거를 없던 일로 규정했고, 군부 독재는 계속됐다. 그러나 2007년 민주화 시위가 유혈사태로 번졌고 군부는 민주화 일정을 발표했다. 2015년 총선에서 NLD가 여당으로 올라서며 군부 독재는 막을 내렸고, 수치 여사는 이듬해 국가 고문으로 미얀마를 이끌게 됐다. 5년간 절치부심하며 설욕을 다짐했던 군부는 지난해 총선에서도 대패했다. NLD은 전체 664개 의석 중 헌법상 군부에 자동 배정되는 166개 의석(25%)을 제외한 선출의석 498석 가운데 396석을 얻은 데 비해 친군부 정당인 USDP는 33석을, 소수민족 정당들은 69석을 얻었다. 이에 불복한 군부는 수치 여사의 집권 2기가 시작되는 2월 1일
민주주의 상징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가택연금 당했다. 지난달 1일 아웅 훌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의 무자비한 쿠데타 때문이다. 수십년 내전 끝에 민주주의 국가로 첫 발을 내딛은 미얀마 국민은 또다시 발생한 군부 독재에 온몸으로 저항하고 있다. 과거 군부 통치 아래 탄압을 경험한 국내에서도 미얀마 시민 불복종 운동에 동참하면서 민주화를 향한 열망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3일(현지시간) 미얀마 쿠데타 발발 이후 가장 많은 38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날 미얀마 군부가 반쿠데타 시위대를 강경 진압해 사망자가 속출했다. 이로써 총 사망자는 50명을 넘었다. 앞서 지난달 1일 미얀마 군부는 민 아웅 흘라잉을 최고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입법·사법·행정 전권을 장악해 향후 1년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지난해 11월 총선 부정을 정부가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아웅산 수치 고문을 비롯한 문민정부 인사들을 구금했다.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최초로 쿠데타에 항의 시위가 지난달 4일 열렸고, 시위대가 ‘국민은 군부 쿠데타에 반대한다’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들고 군정 반대 구호를 외쳤다. 이같은 시민 불복종 저항 운동은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으로 확산됐다. 그러나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