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 시범사업을 과천시가 떠맡아 운영하는 ITS(지능형교통시스템)사업이 돈 먹는 하마로 전락, 사업지속 여부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ITS는 지난 97년 건교부가 5억원을 들여 관내에 설치한 것으로 교통신호제어, 교통 정보제공, 돌발 상황관리, 주차정보제공, 시내버스정보, 감속도로구간 노변경고 등 9개 시스템으로 이뤄져 있다.
이들 시스템은 시의회건물 1층에 위치한 ITS센터에서 총괄 관리, 통제하고 있다.
ITS의 무용론은 시가 종합센터의 노후시설 교체에 따른 7억원을 추경을 통해 계상한 것이 도화선이 되었다.
시의회 일부의원들은 ITS를 10년간 관리해오면서 유지보수와 인건비 등에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부었으나 실제 시민들이 느끼는 체감도와 효과는 극미하다고 지적하며 ‘무용론’을 제기하고 있다.
서형원 의원은 “좁은 시가지에 신호등 조정과 막힌 곳 알려주는 등 조금 밖에 도움이 되지 않는 반면 투입된 예산은 매년 수억 원에 달한다.”며 “돈 먹는 하마인 ITS를 계속 운영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기원 의원은 “답답한 심정은 천배 이상이다”고 서두를 꺼낸 뒤 “건교부가 5억원이란 미끼를 던진 것을 계기로 시는 과거 10년간 170억원이란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다”고 말했다.
특히 임 의원은 “교통정보를 알려주는 전광판이 도시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모니터도 수차례 바꾸면서 한번 교체에 수억씩 들어갔다”며 “인공위성을 이용한 네비게이션이 전국 차량정체구간과 최단거리 이용을 알려주는 판에 매년 10억씩이 소요되는 ITS사업이 과연 필요한지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들 의원들은 한결같이 실용성이 떨어지는 ITS사업을 계속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시민들에게 사업유지여부를 물어 재검토해야 할 때가 되었다는 주장을 펴 ITS가 존폐위기까지 내몰리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실제 피부로 느끼지는 못하지만 사고위험을 줄이고 전광판을 통해 교통정보를 알리는 등 효과가 크다”며 “타 시군도 이런 필요성을 절감, ITS사업을 도입하거나 실시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