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 닿는 곳마다… 체력 키우고 여가 즐기고
남양주시가 권역별로 체육·문화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고 있어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활력이 넘치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 문화를 중요시 하는 시민들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진접국민체육센터와 오남체육문화센터, 화도체육문화센터 건립 등을 추진하고있는 시의 체육·문화 인프라 확충사업을 살펴본다. <편집자 주>
내년 1월 완공 예정인 진접읍 장현리 산 25-39번지의 진접국민체육센터는 현재 5%의 공정율을 보이고 있다.
부지면적 8천㎡, 연면적 3천869㎡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인 이 센터에는 94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5m x 6레인 규모의 수영장과 체력단련장, 다목적체육관이 들어선다.
오남읍 오남리 538-1번지에는 2012년 6월 완공예정으로 오남체육문화센터 건립이 추진되고 있으며 현재 행정절차가 이행중에 있고 17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9천662㎡ 부지에 수영장과 공연장을 겸한 다목적체육관이 들어설 예정이다.
완공되면 이 지역 시민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체력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종료된 매립장이었던 오남 테마파크 축구장도 30억원을 들여 오는 9월까지 정규규격의 인조잔디축구장을 조성해 지역주민의 축구 활성화와 읍면체육대회 등의 행사를 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공동주택개발에 따라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나 생활체육문화 복지시설이 매우 부족한 화도와 수동지역 주민을 위한 화도체육센터도 올해 행정절차에 들어가는 등 건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원래 화도읍 창현리 산 36-5번지 일대에 건립할 계획이었으나 설계중 지질조사과정에서 지하에 단단한 암반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면서 현재 인근 녹촌리 산 8-3번지 일원에서 지질조사중에 있다.
130억원의 사업비로 부지 이전후 건립될 이 센터에도 수영장과 다목적체육관, 관람석 등이 들어선다.
또, 남양주체육문화센터 인근에 들어설 청소년 수련관에는 24m x 3레인 규모의 수영장과 물놀이 시설 등이 들어서 오는 3월께 개관될 예정이며 와부읍 행정타운내에도 95억원의 사업비로 부지면적 2천506㎡, 연면적 4천269㎡규모의 와부수영장이 다목적체육관으로 오는 7월께 완공 예정으로 건립 공사가 한창이다.
이와함께 화도읍 금남리 160-11번지에는 60억원을 들여 2만2천96㎡에 축구장과 농구장, 족구장 등 체육공원을 조성해 북한강 야외공연장과 연계해 지역주민들이 체력증진과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진건읍 진관리 42-1번지 먹골저수지도 15억원을 들여 축구장과 관람석을 조성하며, 이 저수지의 1/2은 생태도시로 발전하는 남양주시에 걸맞게 습지를 조성해 자연학습장과 휴식공간 그리고 진건지역 주민들의 여가선용과 체력증진장으로 활용할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시는 별내면 광전리에 테니스장을, 조안면 진중리와 마석우리 폐철도부지에는 게이트볼 장을, 평내·호평역 교량하부에도 족구장 3면과 게이트볼장 2면을 조성하는 등 지역 곳곳에 소규모생활체육시설을 조성하고 있다.
시는 또, 1억원의 사업비로 70개소의 공공생활체육시설에 대해 기능보강 및 유지보수를 해 보다 많은 시민들이 여가를 선용하고 체력을 단련함으로서 활력이 넘치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의지로 체육·문화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고 있다.
현재 운영중인 이패동 산 95번지의 남양주체육문화센터에는 수영과 헬스 등 6개 종목 72개반에 3천310명을 수용하며 1일 1천500여명이 이용하고 있고 축구장 3면과 야외공연장, 테니스장, 야구장, 인공암벽장, 페어글라이딩장 등 다양한 체육시설을 갖추고 있다.
호평동 620번지 호평체육문화센터에도 31개의 건강·문화 강좌에 51개반과 6개의 학습·문화강좌 8개반에 1천355명이 등록하고 1일 680여명이 이 시설을 애용하고 있다.
시민들은 이같이 수영장과 축구장 등 선호하는 시설들과 곳곳에 크고 작은 규모의 다양한 체육·문화시설이 들어서고 있는 것에 대해 크게 반기고 있으며 기존 시설물 이용에 대해서도 만족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송영모 복지문화국장은 “시는 자연부락이 발달하면서 권역별로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권역별로 복합기능을 갖춘 체육문화센터를 비롯한 다양한 체육·문화 시설들을 곳곳에 갖추어 지역 주민들의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시에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