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방한했던 프랑스 올랑드 대통령은 지난 2012년 대선에서 남녀 성평등 내각 구현을 핵심공약 중 하나로 내세웠다. 그리고 당선 이후 남성장관 17명, 여성장관 17명 동수로 내각을 구성하며 공약을 실천했다. 나아가 경제개발, 교육, 보건 등 요직에 여성들을 기용, 국민들의 박수를 받았다. 특히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결코 깨뜨릴 수 없는 장벽’, 즉 유리천장에 갇혀 있던 여성들의 반응은 뜨거움 그 자체였다.
세계 최초로 남녀동수 내각을 구성한 나라는 칠레다. 칠레는 2006년 미첼 바첼렛(54)이 여성 대통령으로 선출된 뒤 내각을 남녀동수로 구성했다. 여성 참여에 차별을 두는 등 정치적 성향이 비교적 보수적이던 칠레가 이처럼 내각을 획기적으로 구성하자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여성장관이 많았던 북유럽에서조차 이례적 논평을 내놓기까지 했다.
그 후 선진 각국은 내각에 여성 참여를 대폭 늘리기 시작했다. 2010년 재집권에 성공한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각료의 약 3분의 1인 9명을 여성으로 채웠고, 다음해 이탈리아는 총 16명의 장관 중 8명을 여성으로 임명했다. 뿐만 아니라 외무, 국방, 교육 등 요직에 여성장관을 임명함으로써 주변국보다 한발 더 나아갔다.
국제의원연맹(IPU)과 유엔여성(UN Women)이 세계 189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14 여성 정치인 지도’를 보면 스웨덴은 56.5%가 여성 각료이고, 핀란드도 50%가 여성이다. 노르웨이는 47.1%, 네덜란드 46.7%, 덴마크 45.5% 등 상당수 북유럽 국가들은 내각의 절반가량을 여성이 차지하고 있다.
어제 캐나다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고 한다. 10년 만에 정권교체에 성공한 쥐스탱 트뤼도(43) 자유당 대표가 23대 총리에 취임하면서 캐나다 정치사상 처음 남녀 각각 15명씩 동수내각을 출범시켰기 때문이다. 젊은 총리의 선택에 캐나다는 지금 열광하고 있다고 한다.
남성에 못지않은 능력과 자격을 갖추었음에도 조직 내에 관행과 문화처럼 굳어진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한 우리나라, 특히 대통령은 여성이면서도 여성장관이 한 명뿐인 우리의 정치 현실, 새삼 부끄럽다.
/정준성 주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