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6.6℃
  • 맑음강릉 26.9℃
  • 맑음서울 28.2℃
  • 맑음대전 27.9℃
  • 구름많음대구 27.7℃
  • 구름조금울산 23.6℃
  • 구름많음광주 27.2℃
  • 구름많음부산 23.1℃
  • 맑음고창 25.6℃
  • 흐림제주 23.0℃
  • 맑음강화 23.7℃
  • 맑음보은 27.1℃
  • 구름조금금산 27.8℃
  • 구름많음강진군 25.1℃
  • 구름많음경주시 26.5℃
  • 구름많음거제 22.7℃
기상청 제공

인천 자체매립지 발표 눈앞…자원순환정책·매립지 인식개선 시급 과제로

인천시, 대시민 홍보에 적극 나설 계획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 3-1공구 종료 이후 사용할 자체매립지 입지후보지 발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자원순환정책과 매립지, 소각시설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현재 매립지 입지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의 반발이 거센데다, 향후 소각장 설치 후보지로 선정되는 곳 주민들의 반발 또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민들의 인식개선이 정책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3일 시에 따르면 오는 12일 자체매립지와 소각장, 하수장슬러지 처리시설 등 입지후보지 7곳을 발표한다.

 

날짜가 다가오면서 지역사회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혐오시설’로 분류되는 만큼 후보지로 선정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근 자체매립지 후보지로 언론에 보도된 영흥도 지역이 대표적이다.

 

이에 시는 시민들의 인식개선을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이날 정진오 시 대변인은 기자실을 찾아 “우리(공무원)부터 자원순환정책과 매립지, 소각시설에 대한 개념과 이해가 부족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대변인의 말을 종합하면 시는 우선 새로 조성하는 자체매립지가 기존과는 전혀 다른 것임을 강조할 계획이다.

 

그는 “흔히 매립지라고 하면 쓰레기를 가득 실은 덤프트럭이 오가며 쓰레기를 투여하는 이미지가 떠오르지만 자체매립지에 매립되는 것은 ‘쓰레기’가 아닌 자원순환처리 절차를 거쳐 남은 최소한의 소각재일 뿐”이라며 “간척사업에 쓰이는 매립재, 복토재와 같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만일 매립 지역이 뭍이 아닌 갯벌이나 공유수면이라면 그 만큼 땅이 넓어지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며 “그 곳을 주민들이 원하는 용도로 쓸 수 있게끔 하는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 말대로라면 앞으로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는 만큼 자원순환처리 과정과 소각 절차를 거쳐 최종 잔재물만 매립되는 자체매립지는 기존 매립지와 달리 환경피해 우려는 상당 부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발생한 원쓰레기를 수거하고 재활용, 소각하는 과정에서의 환경피해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이전에는 특정 지역에 집중된 문제였다면 앞으로는 다수 지역에 분산된 문제가 될 수 있다.

 

시는 '자원순환정책의 성패는 시민의 손에 달렸다'며 관련 캠페인을 개최하는 등 앞으로 지속적인 시민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

 

정낙식 시 자원순환과장은 “인천시의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의 성패는 300만 시민의 손에 달렸다”며 “생활 속에서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부터 쓰레기 감량을 위한 개선된 수거·처리 체계까지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희근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