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은 분양시장에서 성수기로 통하지만, 올해에는 분양물량이 1만 가구를 밑돌면서 23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다음 달 전국 아파트 분양계획 물량은 동월 기준 2001년(7987가구) 이후 가장 적은 8466가구로 집계됐다. 권역별로 수도권 5582가구, 지방 2884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시도별 3월 분양 예정 물량은 경기(4651가구), 대전(1962가구), 부산(922가구), 인천(732가구), 서울(199가구) 등의 순이다. 그 외 지역에서는 분양 예정 물량이 전혀 없다.
경기 지역에서는 북수원이목지구디에트르더리체Ⅰ(1744가구), 지제역반도체밸리해링턴플레이스(1209가구) 등 1000가구 이상 대단지 2곳이 분양에 나선다.
서울에서는 경희궁유보라(199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대전에서는 대전성남우미린뉴시티(1213가구), e편한세상서대전역센트로(749가구) 등이 공급되며, 부산에서는 부산장안지구디에트르B3(507가구), e편한세상금정메종카운티(415가구) 등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청약홈 개편(3월 4∼22일)으로 분양공고가 중단되는 데 이어 4월 총선과 5월 어린이날 연휴 여파로 관심이 분산될 수 있어 5월 초 이후라야 봄 분양시장이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21일 출시된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분양가 6억 원,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이 대상"이라며 "젊은 무주택 수요가 많은 수도권에서 해당 요건을 만족하는 주택이 얼마나 많이 공급될 수 있을지가 관건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부동산R114가 최근 2년간 전국 아파트 일반분양(사전청약 제외) 물량 가운데 분양가 6억 원, 전용면적 85㎡ 이하 가구 비중을 살펴본 결과, 2022년 72.5%(22만 487가구 중 15만 9801가구)에서 2023년 58.8%(13만 4387가구 중 7만 984가구)로 13.7%포인트 줄었다.
특히 서울은 청년주택드림대출 대상이 되는 분양 물량 비중이 작년 기준 4.5%에 불과해 서울보다는 수도권과 지방에서 통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