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올해 16개시 24곳에 총1943면의 주차공간을 확보한다.
27일 도에 따르면 도는 1248억 원(도비 164억 원, 시군비 1084억 원)을 투입해 ‘주차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주거·상가 밀집지 공영주차장 조성 ▲주택가 뒷골목 자투리주차장 조성 ▲부설주차장 무료개발 지원 ▲주차정보시스템 구축 등이 골자다.
공영주차장 조성은 상가·주거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대규모 공영주차장 조성 시 설치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12개 시 16곳에 도비 156억 9900만 원을 지원, 주차면수 1730면을 확보한다.
자투리주차장 조성은 노후주택 등 유휴부지를 확보해 이를 주차공간으로 조성 시 설치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4개 시 6곳에 도비 5억 3000만 원을 지원해 주차면수 70면을 확보한다.
주차장 무료개방 지원은 부설주차장(20면 이상)을 주35시간 이상 지역주민에게 무료개방 시 주차장 시설 개선비 최대 1억 원(도비 5000만 원, 시군비 5000만 원)을 지원한다.
수원, 안양 등 2곳에 도비 1억 원을 지원해 143면의 주차공간이 무료개방될 예정이다.
주차정보시스템 구축은 주차공간 빈자리 정보를 경기도교통정보센터를 통해 민간 앱 등에 실시간 제공 시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1억 4400만 원을 투입해 파주, 군포, 안성 등 3개 시 8개 공영주차장 1064면의 주차장 이용정보를 일반에 제공한다.
대상지는 사업 연도별로 시군으로부터 수요 신청을 받아 도에서 최종 선정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시군에 주택가 공영주차장 야간시간 무료 운영을 적극 독려하고 있으며 부설주차장은 주차차단기, 안전관리자를 통해 개방시간 외 무단주차를 방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