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저출생·지역 소멸 등 국가적 위기를 이유로 금융권이 먼저 주 4.5일제 도입에 나서야 한다며 총파업을 예고했다. 그러나 고액 연봉을 받는 금융권 노동자들의 근무시간 단축 요구가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노조는 8일 서울 중구 투쟁상황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는 26일 총파업 방침을 밝혔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저출생, 돌봄 공백, 지역 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 앞에서 노동시간 단축과 금융산업 구조개선을 제안했지만 사용자 측은 수개월 동안 책임 있는 답을 내놓지 않았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노사 자율 노동시간 단축’이 이제 현실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또 “오는 26일 10만 조합원의 결의와 국민적 지지에 힘입어 반드시 현실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억대 연봉을 받는 금융권 노동자의 주 4.5일제 근무에 국민적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그는 “연봉 1억 이상이라는 프레임에 갇혀 있어 해소가 어렵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이어 “강한 노조로 평가받는 금융노조에서도 여성 노동자·출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데, 다른 사업장에서 먼저 가능하겠느냐”며 “주5일제 역시 금융노조가 선도했던 만큼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파업으로 인한 은행 업무 차질 우려에 대해서는 “시중은행과 국책은행 모두의 공통 이슈라 참여율은 상당히 높을 것”이라면서도 “국민 불편을 목적으로 하는 파업은 아니기에 업무 마비 정도를 측정하지는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금융노조는 지난 1일 전체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94.98%의 찬성률로 총파업을 확정했다. 이번 교섭에서 노조가 요구하는 안건은 ▲임금 5% 인상 ▲주 4.5일제 전면 도입 ▲신규 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이다.
[ 경기신문 = 공혜린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