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1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연봉 1.2억 은행원, 26일부터 총파업 돌입…금융권 ‘초긴장’

주 4.5일제·임금 5% 인상 요구 불발
사측 “고객 불편·사회적 수용성 우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오는 26일부터 총파업에 나선다. 주 4.5일제 도입과 임금 5% 인상 요구가 사측과의 교섭에서 최종 결렬되면서다. 은행권은 고객 불편과 인건비 부담 확대에 따른 부정적 파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융노조는 21일 “사측이 핵심 요구안을 수용하지 않아 총파업을 단행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지난 3월 ‘2025년 산별중앙교섭 요구안’을 제출했지만, 두 차례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결국 조합원 투표에서 94.98%의 압도적 찬성이 나오며 3년 만의 총파업이 확정됐다.

 

사측은 고객 서비스 차질을 우려하며 난색을 표한다. 65세 이상 고객의 70%가 여전히 창구를 이용하는 만큼, 파업이 현실화하면 고령층 불편이 불가피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근로시간 단축은 시대적 흐름일 수 있으나, 사회적 합의 없는 성급한 도입은 오히려 신뢰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근로시간만 줄이고 임금 삭감 논의가 없는 상황에서 인건비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업의 연속성과 신속성이 중요한 심사, 결제, 위험 관리 등 핵심 업무가 흔들리면 시스템 리스크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우려다.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시중·특수·지방은행 직원 10만 9625명의 지난해 1인당 평균 보수는 1억 1200만 원으로, 전체 산업 평균의 두 배를 웃돈다.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만 놓고 봐도 1인당 평균 보수가 1억 2000만 원 수준이다. 여기에 올해 금융사고 피해액이 2조 2000억 원에 이르면서, 노조의 추가 임금 인상 요구가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4.5일제는 ‘놀자판’을 만들려는 게 아니다”라며 “무기력증과 우울증, 극단적 선택까지 내몰리는 우리 동료들을 위해 반드시 쟁취해야 할 외침”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금융권 일각에서는 “높은 연봉과 안정된 일자리 속에서의 4.5일제 요구가 사회적 공감을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

 

[ 경기신문 = 공혜린 수습기자 ]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