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롯데카드, ‘사금고’ 전락 논란···규제 사각지대 이용한 MBK

MBK발 사모펀드 규제 공백 도마 위
관계사 신용공여 집중·재무 건전성 악화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를 인수한 이후 ‘사모펀드식 경영’으로 금융시장의 건전성과 소비자 신뢰를 흔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롯데카드가 대주주 MBK 관계사에 거액의 신용공여를 집중하면서 재무 건전성이 악화됐고, 이에 사모펀드 전반에 대한 규제 허점이 드러났다는 것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2022년 기준 홈플러스 등 MBK 관계사 7곳에 총 1460억 원, 2023년에도 1420억 원 규모의 신용공여를 집행했다. 신용공여 비율은 2020년 11.21%에서 2023년 22.25%까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자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가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 롯데카드의 영업이익은 2022년 3310억 원에서 지난해 1731억 원으로 급감했고, 당기순이익도 절반가량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을 MBK가 대주주 지위를 이용해 관계사 자금줄로 롯데카드를 활용하면서 내재적 리스크 규제가 무력화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교수는 “MBK의 과도한 개입으로 롯데카드의 재무 건전성과 수익성이 동시에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앞서 MBK는 홈플러스 인수 과정에서도 대규모 차입을 통해 레버리지 매입(LBO)을 활용하며, 부동산 매각으로 투자금을 회수해 논란을 빚었다.

 

롯데카드 사례 역시 이와 유사하게 관계사 지원을 통한 단기적 자금 운용에 치중하는 모습이다. 이는 금융 소비자의 안전망을 훼손할 뿐 아니라 장기적 기업 가치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이 같은 사례는 MBK의 전형적인 행태를 보여주는 동시에, 현행 규제가 이러한 ‘대주주 사금고화’ 위험을 방치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에 사모펀드가 기업 구조조정과 투자 효율화를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단기 차입·투자금 회수’에 치중하면서 금융 시스템 안정성을 위협한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문제는 MBK 사례가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국내 사모펀드 전반의 구조적 문제와 맞닿아 있다는 점이다.

 

최근 국회와 금융당국에서는 사모펀드가 중대한 법규를 위반할 경우 등록을 즉시 말소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GP(운용사)의 정보 제공 투명성을 강화하고, 투자 내역·순수익률·배당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현재 자본시장법은 GP의 위법행위가 반복될 때만 등록 취소가 가능하지만, 단 한 번의 중대한 위반에도 직접 제재가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에 사모펀드의 행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의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정보 공개 의무 강화, 차입 상한 비율 하향 등 종합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MBK의 ‘사모펀드식 경영’에 대한 비판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며 “앞으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와 ‘차입 상한 비율 하향’ 등 제도 도입 통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공혜린 수습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