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자들이 향후 회사로부터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배상액을 근거로 법인 회생 절차를 추진하기로 했다. 법원의 수용 여부는 불투명하지만, 집단 손해배상 소송에 이어 회생 신청까지 가시화되면서 롯데카드 측 부담이 한층 커질 전망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 구조조정·회생 전문 로펌 로집사는 롯데카드의 기업 회생을 신청할 계획을 세우고 다음 달부터 피해자 모집에 나선다.
기업회생은 빚을 감당하기 어려운 기업이 법원의 감독 아래 채권자들과 부채를 조정해 경영 정상화를 도모하는 제도다. 로집사 측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라 회생 절차 개시를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법에 따르면 채권자 등이 자본금의 10% 이상 채권을 모으면 회생 신청이 가능하다.
롯데카드의 상법상 자본금은 3737억 원으로, 약 374억 원 규모의 채권이 확보돼야 한다. 로집사는 피해자 1인당 배상액을 30만 원으로 가정할 경우 약 12만 명이 참여하면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엽 로집사 대표 변호사(서울회생법원 부장판사 출신)는 “이번 사태는 단순한 보안 사고가 아니라 경영진 차원의 구조적 문제”라며 “피해자 모집 절차를 곧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해자들이 채권단으로 인정되면, 롯데카드는 증자나 지분 매각 등을 통해 채권을 변제해야 하고 상황에 따라 지배구조에도 변화가 불가피하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회생 신청이 실제 받아들여질 가능성에는 의문을 제기하면서도, 롯데카드가 중간에 피해자 측과 합의에 나설 여지도 있다고 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회생 신청 자체가 배상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압박 수단이 될 것”이라며 “사회적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롯데카드는 이날까지 개인정보 유출 고객 297만 명 중 128만 명(43%)에게 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카드 정지·해지 등 보호 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부정 사용 우려 고객 28만 명 가운데서는 19만 명(68%)이 카드를 재발급받거나 사용을 중지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현재 카드 재발급이 100만 명까지 밀려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주말까지 대부분 해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공혜린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