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저녁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 화재로 금융권 서비스 차질 우려가 커지자 주요 금융그룹들이 긴급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하며 고객 불편 최소화에 나섰다.
특히 오는 29일 영업 재개 시 거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각 그룹은 신분증 대체 인증과 전산 백업 체계를 강화하며 만전을 기하고 있다.
먼저 우리금융은 그룹 차원의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시스템 영향도를 점검했다. ‘우리WON뱅킹’ 앱과 콜센터, 계열사 홈페이지를 통해 신속히 공지했으며, 영업점 중심으로 보안 절차와 긴급 전산 개발 준비를 완료했다.
하나금융은 그룹 CRO(리스크부문장) 주재 회의를 열고 전 계열사 시스템 영향을 실시간 모니터링 중이다. ICT 부문에서는 주요 전산 항목을 점검하고,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등 정부기관 인증 업무 차질에 대비해 운전면허증 등 대체 수단을 마련했다. 또한 데이터센터 안정성 확보를 위해 서버·UPS 등 인프라 점검에도 나섰다.
신한금융도 27일 긴급 회의를 통해 은행·카드·증권 등 전 계열사의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대체 인증 수단과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안내 중이다. 아울러 영업점과 콜센터에서 화재로 인한 처리 불가 업무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 방안을 마련했다.
NH농협금융지주도 화재 발생 직후 비상대응에 착수했다. ▲채널별 대고객 공지 ▲행정안전부 연계 서비스 진입 시 안내 팝업 적용 ▲신분확인 업무 대체인증 검토 ▲우체국 연계 업무 영향 고객 파악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강화 등을 포함한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하며 고객 불편 최소화에 나섰다.
KB금융은 주민등록증·모바일 신분증 진위확인과 해외 IP 차단 고객의 이체 거래, ‘국민지갑’ 일부 서비스가 중단됨에 따라 양종희 회장이 참석해 비대면 비상대응회의체를 운영하며 계열사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은행, 증권, 손보, 카드, 캐피탈 등 각 계열사들은 IT부문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금요일 저녁 즉시 전산센터, 인프라, 금융서비스를 점검했다”며 “현재까지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한 고객 안내, 대체수단 마련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29일 영업 개시 전 회의를 통해 서비스 현황을 다시 점검하고,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화재는 26일 오후 8시 15분께 국정자원 대전 본원 서버실에서 발생했으며,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등 신분확인 절차, 인터넷 지로 및 과금 납부 등 행정기관 연계 서비스,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에서 장애가 발생했다.
[ 경기신문 = 공혜린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