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김장철을 앞두고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추와 무 4만 7500톤(t)을 공급하고, 500억 원 규모의 농수산물 할인지원 예산을 투입한다.
농식품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김장 성수품 수급 및 물가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공급 물량에는 ▲배추 3만 6500t ▲무 1만 1000t이 포함되며, 이외에도 고추·마늘·양파·천일염 등 5000t이 추가로 방출된다.
500억 원의 농수산물 할인지원 예산은 다음 달 3일까지 대형마트와 중소형 마트 등에서 김장 재료 전 품목 할인 행사에 사용된다. 이 중 200억 원은 수산물 할인 행사에 투입돼 천일염, 새우젓, 멸치액젓, 굴 등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수산대전 김장 특별전’이 진행되며, 전통시장에서는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도 함께 열린다.
농식품부는 공급 확대와 할인 지원 외에도 김장 재료 원산지 표시 단속 및 잔류 농약 검사 등 안전 관리 강화에 나선다.
배추와 무의 공급 여건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전망된다. 추석 연휴 이후 이어진 강우로 병해 우려가 있었으나, 재배면적 확대에 따라 가을배추 생산량은 전년 대비 3.2% 증가한 약 120만t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작황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김장이 본격화되는 이달 중순 이후에는 생산량이 더욱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산지 가격이 상승한 마늘과 습해 피해를 입은 쪽파, 멸치 생산량 감소로 공급이 줄어든 멸치액젓 등 일부 품목은 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장철을 앞두고 농축산물 물가는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국가데이터처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결과 농축산물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7% 상승했다. 이 중 농산물은 1.1% 오르는 데 그쳐 안정세를 보였으며, 축산물은 5.3%, 가공식품 3.5%, 외식 물가는 3.0% 상승했다.
특히 채소류는 8월 폭염과 가뭄, 9월 잦은 강우로 출하량이 줄었지만, 정부가 추석 전후 역대 최대 수준의 공급 물량을 투입하며 가격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농식품부는 이달에도 수입산 가격 상승으로 강보합세를 보이는 축산물과 잦은 비로 수확이 지연된 쌀에 대해 추가 할인 행사를 추진할 방침이다. 애초 지난달 말까지로 계획했던 쌀 할인 행사는 이달 말까지 연장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양의 김장을 담글 수 있도록 물가 부담을 덜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