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9.8℃
  • 맑음서울 16.2℃
  • 맑음대전 17.9℃
  • 구름조금대구 19.3℃
  • 구름많음울산 16.8℃
  • 구름조금광주 18.7℃
  • 구름많음부산 19.4℃
  • 구름조금고창 17.7℃
  • 흐림제주 18.3℃
  • 맑음강화 13.6℃
  • 맑음보은 17.0℃
  • 맑음금산 18.0℃
  • 구름조금강진군 19.2℃
  • 구름조금경주시 19.5℃
  • 구름조금거제 18.0℃
기상청 제공

중기부, ‘AI·통합 플랫폼’으로 중소기업 지원 혁신

2700여 개 지원 공고 통합 제공
AI 기반 맞춤형 中企 지원체계 구축
수출기업 대상 관세 정보 맞춤형 제공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전면 개편한다. 기존 분산된 정보와 복잡한 절차를 한곳에 모은 통합지원 플랫폼을 연말 공개하고, 내년부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맞춤형 지원 서비스와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등 혁신적인 지원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4일 중기부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AI 기반 맞춤형 지원 ▲디지털화로 서류 부담 축소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혁신기업 선별 강화 등을 핵심으로 한다.

 

중기부는 기존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를 연말까지 통합하고, 2700여 개 지원사업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재탄생시킬 계획이다. 기업 확인서·벤처기업 확인서 등 21종 인증서도 통합 발급한다. 또한, 로그인 한 번으로 지원사업 신청까지 가능한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해 중기부 37개 신청채널과 연계하고, 타 부처 공공기관으로도 확대할 방침이다.

 

AI 기반 서비스도 본격 도입된다. 내년 1월부터 기업 업종, 지역, 지원사업 수혜 이력, 검색기록 등을 분석해 기업별 최적화된 지원사업을 추천한다. 연내에는 수출기업 대상 맞춤형 수출국가·관세 정보 서비스가, 내년 하반기에는 소상공인 상권 분석과 제조기업 기술 공급처 추천 등 특화 정보 서비스가 제공된다. 사업계획서 작성 부담도 AI로 줄인다. 기업이 최소 정보만 입력하면, AI가 관련 데이터를 학습해 맞춤형 초안을 자동 생성한다.

 

서류 제출 부담도 대폭 경감된다. 현재 평균 9개인 제출 서류를 4.4개로 50% 이상 줄이고, 행정기관 발급 서류는 공공데이터와 연계해 지원기관이 직접 확보하도록 한다. 연계율도 올해 43%에서 내년 96%로 확대된다.

 

중기부는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방지도 강화한다. 13개 지방청과 7개 산하 공공기관에 신고 채널을 운영하고, AI를 활용해 내년 상반기부터 대리 작성 사업계획서를 적발한다. 위법 행위 유형을 명확히 하고, 자료제출 요구권과 제재 규정도 마련할 계획이다.

 

벤처기업 지원도 확대된다. 팁스(TIPS) 예산은 올해 7478억 원에서 1만 1592억 원으로 늘리고, 딥테크 밸류업 지원 예산도 70억 원에서 84억 원으로 확대한다. 글로벌 기업이 선별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도 확대된다. AI 기반 기술·기업 평가 플랫폼 ‘K탑(K-TOP)’과 AI 평가 모델(K-value)을 활용해 혁신기업 선별과 정책자금 지원 효율화도 추진한다.

 

한성숙 장관은 “공공도 이제 서비스 혁신을 해야 한다”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직관적이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