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지난 25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가며 물류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총 산하 전국건설노동조합도 2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간다. 특히 이들의 총파업과 함께 민주노총이 노동탄압 중단, 노동기본권 및 민중생존권 보장 등을 포함한 10대 과제와 78개항에 이르는 노동법 개정 및 사회개혁 입법안을 요구하면서 8월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여서 하투(夏鬪)가 본격화된 것 아니냐는 예상이다. 건설노조는 26일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기본권 보장, 건설현장 체불 근절, 4대보험과 퇴직금 전면적용 등을 내세우며 2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건설노조는 28일 2만여명의 조합원들이 서울에 집결한 가운데 총파업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열 계획이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건설현장 임금체불액은 지난 2007년 949억원에서 지난해 1천660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노조에 신고된 조합원 체불은 326건 390억원으로, 이중 4대강 공사와 LH 등 관급공사 현장이 70%를 차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화물연대도 26일 물류대란을 막기 위해 오는 27일 오후 정부청사에서 끝장 교섭을 개최할 것을 정부 측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지금까지
다산인권센터, 수원환경운동센터 등 25개 수원지역 시민사회단체는 26일 수원시청 현관 앞에서 ‘수원시 시립어린이집 보육실내 CCTV설치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CCTV 설치 중단을 촉구했다. 단체들은 이날 “시는 이달 7일 수원지역 시립어린이집에 아동안전과 보육현장 서비스 제공, 보육교사의 책임감 고취 등을 위해 1억9천만원의 비용으로 보육실내 CCTV설치를 행정예고했다”며 “최근 경기도에서 도내 국공립어린이집 CCTV설치를 계획했지만 반대의견으로 추진이 무산됐음에도 지자체 예산으로 CCTV를 보육시설에 설치하는 곳은 수원시가 유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동들은 모든 생활을 어린이집 시설내 보육실에서 하고, 교사들도 휴식시간 없이 아동과 함께 모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이런 일상생활이 CCTV에 그대로 노출되고 녹화될 것”이라며 “CCTV 설치는 녹화뿐 아니라 영상자료의 보관, 송출 여부에 따라 또 다른 심각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안전한 보육을 위해 설치한다는 CCTV는 원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아동과
의왕시 백운산이 등산객들의 술판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본보 6월 26일자 6면 보도) 의왕시가 수억원의 예산을 들여 조성중인 백운산 명품등산로 정비공사가 애꿎은 자연을 훼손하고 있어 원성을 사고 있다. 특히 등산로 곳곳에 쌓여 있는 공사장비와 철제, 가스통 등이 널부러진 채 방치되고 있어 등산객과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가 하면, 백운산 정상이 전망대 조성을 위해 설치한 철제 구조물로 변질돼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6일 의왕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4월 30일부터 ‘의왕시 명품등산로 정비공사’의 일환으로 1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백운산 내 시설물인 전망대 데크 외 8종과 지반복원 외 2종의 포장공사, 통나무배수로 외 1종의 우배수로 공사 등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시의 무리한 공사 진행으로 자연훼손 논란이 이어지고 있으며, 백운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등산로 곳곳에 쌓여있는 철재들을 밟거나 피하려다 넘어지는 등산객들이 속출하면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백운산 정상에는 20㎡의 전망대 조성이란 명분 하에 현재 정체모를 구조물이 자리를 잡으면서 또 한번 인위적인 경관 훼손이란
국민건강보험공단 경인지역본부는 오는 7월 1일부터 장기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준인 인정점수 대상이 ‘55점이상’에서 ‘53점이상’으로 낮아진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전에 인정점수가 53점에서 55점미만에 해당됐던 1만2천774명에 대해 일괄로 장기요양인정신청 안내문을 발송했으며, 안내문을 받은 가정은 동봉한 ‘장기요양 인정신청서’를 작성해 공단운영센터에 방문이나 우편 또는 팩스로 신청하면 공단은 인정절차에 따라 등급판정을 실시하게 된다. 또 그간 등급외 판정으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했던 어르신 2만4천명이 추가로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경인지역본부 관계자는 “그동안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수급 기준에 미달해 실질적으로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국민들이 적용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며 “앞으로 인정점수가 낮아짐에 따라 더 많은 국민들이 장기요양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현철 수원남부경찰서장이 일선 현장업무에 대한 고충을 파악하고 지역현장에 맞는 치안정책을 반영하기 위해 지난 25일 산남파출소 순찰팀원으로 밤샘현장근무를 실시했다. 유 서장은 오후 9시 치안상황실 체험을 시작으로 오전 9시까지 일선 경찰관과 동일한 복장과 경찰장구를 착용하고 상황근무, 112신고출동, 도보순찰, 음주운전단속 등 밤샘근무를 직접 체험했다. 이날 유 서장은 최근 야간이나 새벽시간대에 범죄취약지로 위협받는 도시공원을 중점적으로 집중순찰하면서 공원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취약시설을 점검하는 한편 24시간 편의점을 방문해 범죄에 대처하는 요령을 직접 업주들에게 설명했다. 유 서장은 “어려운 근무여건 속에서도 주민들의 신뢰를 얻고 국민들이 의지할 수 있는 경찰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는 일선 현장의 근무자들의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경찰이 되기 위해 전 직원이 하나 된 마음으로 근무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수원남부서는 오는 30일까지 경찰서 전 과장과 서장이 현장체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북아트는 책과 예술이 만나 단순히 지식과 정보 전달만을 하는 기능이 아닌 책 자체가 예술이 되는 예술의 한 장르이다. 20세기 파리를 중심으로 나타난 이 새로운 예술 형식은 당시엔 화가들이 만든 책이라 해서 ‘미술가의 책(Artist book)’이라 불렸다. 서점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네모 형태의 책에서부터 전혀 책이라고 보기 어려운 형태의 책까지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는 북아트는 개인의 생각과 느낌, 아이디어를 최대한 발휘해 독창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현재 ‘북아트연구소 책다음’의 대표로 일하고 있는 홍승희씨를 만나 우리 생활과 가까이 있는 예술이기에 앞으로 응용, 확장,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되는 북아티스트에 대해 살펴봤다. ▲북아티스트는 무슨 일을 하나요 -요즘 나오는 책들을 보면 크기나 형태가 굉장히 다양하잖아요. 펼치면 태양계 행성이 순서대로 나오는 경우도 있고, 동화 속 공주와 화려한 성이 팝업으로 튀어 나오는 경우도 있죠. 또 그림과 사진 사이에 손글씨가 빼곡히 적혀 있는 경우도 있을 거예요. 이런 책들은 단순한 책이 아니라 예술작품이라고 부를만하죠. 북아티스트는 이렇게 책을 자유롭게 변형해 예술작품으로 만드는 예술가입니다.
최근 등산을 즐기는 시민들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의왕 백운산을 찾은 일부 등산객들이 정상에 위치한 정자와 주변에서 술판을 벌여 등산객과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특히 정상 한켠에 자리잡은 노점상은 막걸리와 안주 등을 버젓이 판매하고 있어 등산객들의 음주를 부측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25일 의왕시 등에 따르면 의왕시 백운산은 인근 시흥과 수원, 용인시 등에 걸쳐 있는 산으로 567m의 높이에 뒷편으로 백운저수지가 자리잡고 있으며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총 22만여명의 등산객들이 찾을 정도로 경관이 빼어나다. 하지만 주말이면 백운산을 찾은 일부 등산객들이 정상에 위치한 정자 인근은 물론 불법 노점상 주변 곳곳에 자리를 잡고 술판을 벌이고 있여 등산객들과 주민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실제 백운산 입구부터 정상까지 올라가는 등산로 주변 곳곳에는 돗자리를 펴놓고 막걸리를 마시는 등산객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었고, 정상에 도착하자 막걸리와 안주 등을 판매하는 노점상 주변과 정자 등에서 벌어진 술판과 일부 등산객의 고성방가로 소위 난장판이 따로 없었다. 등산객 이모(29)씨는 “구슬땀을 흘리며 백운산 정상에 도착했는데 곳곳에서 술
국민생활체육 경기도게이트볼연합회(이하 연합회)가 게이트볼 심판자격시험 응시생들에게 비매품인 교육용 책자를 일정 금액을 받아 판매하고 있어 말썽을 빚고 있다. 특히 응시생들은 게이트볼 심판 자격증 취득을 위해 시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자료라며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25일 경기도생활체육회와 연합회 등에 따르면 연합회는 매년 11월말이나 12월 초에 1번씩 주관하는 심판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해 이론수업과 실기시험(스파크타격, 터치, 1·2게이트 통과방법), 필기시험(60점 이상) 등을 거쳐 합격자에게 게이트볼 심판자격증을 교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응시생들은 게이트볼 심판자격증 취득을 위해 교재비 1만원과 교육비 2만원 등 총 3만원의 심판교육프로그램 참가비용을 부담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연합회가 일반인에게 판매가 불가능한 비매품 책자를 인쇄비 명목으로 권당 1만원에 판매해 응시생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욱이 연합회가 지난 2011년 12월 수원 여기산공원 인근에서 개최한 게이트볼 3급 심판자격시험의 응시생 174명 중 일부가 “교육받던 당일 교육장에서 비매품인 게이트볼 관련 교재를 구입했
올 연말부터 KT LTE 고객들은 하나의 USIM으로 티머니 또는 캐시비 등 고객이 원하는 선불 교통카드서비스를 선택해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KT는 현재 휴대폰 개통 시 모바일 선불교통서비스인 티머니나 캐시비를 미리 선택해 USIM을 구매해야 했으나 이를 후탑재형으로 전환해 하나의 USIM으로도 교통카드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연내 도입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모바일 교통카드를 위해 USIM을 별도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지고 하나의 LTE USIM으로 원하는 교통카드서비스를 고객이 직접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KT는 한국스마트카드(티머니 제공사), 이비카드·마이비(캐시비 제공사), 유페이먼트(탑패스) 등 교통카드 사업자 및 LTE USIM 공급사와의 협력을 통해 연내 서비스를 상용화할 예정이다.
일제에 의해 훼손된 채 방치돼온 것도 모자라 30여년 전 수원천 복개공사를 하면서 없어졌던 수원 화성행궁 앞 ‘명당수(明堂水)’가 지난 2007년 복원,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지만 물은 흐르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어 허울좋은 복원이었던게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신풍교 밑 명당수 바닥이 각종 쓰레기는 물론 빗물이 배수되지 않고 고여 있는 탓에 모기떼마저 극성을 부려 시민들은 물론 관광객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어 시의 문화재 관리가 논란이 되고 있다. 24일 수원시와 수원화문화재단에 따르면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258-1번지 일원에 수원화성행궁 앞에 흐르던 명당수를 예산 12억을 들여 길이 87m, 폭 3m, 총면적 308㎡로 지난 2007년 3월 복원했다. 명당수는 과거 조선시대에 화성행궁 축조 당시 팔달산으로부터 발원한 명당수를 궁궐 앞에 흘러내리게 해 궁궐로 출근하는 관리들이 그 맑은 물을 보고 마음을 깨끗하게 해 올바른 업무를 보게 하겠다는 정조의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현재 복원된 명당수에는 물이 흐르지 않은 채 바닥이 말라있는 상태로 방치돼 있어 명당수 본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든 상태다. 더욱이 하천 바닥 곳곳에는 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