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30 (화)

  • 맑음동두천 26.6℃
  • 맑음강릉 31.5℃
  • 맑음서울 28.2℃
  • 맑음대전 27.4℃
  • 맑음대구 29.8℃
  • 맑음울산 29.1℃
  • 맑음광주 27.7℃
  • 맑음부산 29.2℃
  • 맑음고창 26.8℃
  • 맑음제주 29.3℃
  • 맑음강화 25.5℃
  • 맑음보은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6.5℃
  • 맑음경주시 28.4℃
  • 맑음거제 27.4℃
기상청 제공

[제테크칼럼] 헤지편드란?

헤지(hedge)라는 단어는 울타리를 뜻하는 영어단어다. 울타리는 외부의 적이나 도둑으로부터 집을 방어, 또는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헤지라는 단어에는 위험으로부터의 보호, 즉 위험회피라는 의미가 내재돼 있다. 그래서 원래 헤지펀드는 일반펀드에 비해 위험회피기능이 높고 대박수익률보다는 시장평균보다 약간 높은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다소 보수적인 펀드였다. 위험회피가 가능한 이유는 현물과 선물의 가격차이를 이용한 무위험차익거래라는 기법을 주로 사용했기 때문인데,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원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현재의 헤지펀드는 무위험차익거래는 물론이고 에쿼티 롱-쇼트(equity long-short) 전략, CTA 전략, event-driven 전략 등 이름도 생소하지만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수익, 또 수익, 오로지 고수익만을 추구하는, 탐욕스러운 느낌마저 주는 펀드로 변질됐다.

왜 이렇게 됐을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99%를 위한 것이 아닌 1%만을 위해 만들어진 금융상품이라는 헤지펀드의 태생적 한계가 중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보여진다. 왜 1%인가? 2011년 12월에 우리나라에도 이른바 한국형 헤지펀드 12개가 출시됐는데, 개인이 가입할 수 있는 최소금액이 5억원이다. 말이 5억원이지, 총 금융자산이 5억원인데 그걸 몽땅 헤지펀드에 통 크게 투자하는 대범한 사람은 없을 테니 금융자산이 최소한 50억원은 돼야 헤지펀드에 관심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그러고 보니 1%가 아니라 0.1%가 더 정확한 표현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헤지펀드, 펀드매니저, 그리고 보수

전세계의 헤지펀드 규모는 2010년 기준으로 약 2천200조원. 전세계 투자자금의 1% 수준이고 1만개 정도의 헤지펀드가 설립돼 있다. 이 중 자산 20조원이 넘는 펀드만 11개에 이른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헤지펀드 매니저로는 조지 소로스, 존 폴슨, 제임스 사이먼스, 데이빗 태퍼 등이 있는데, 이들의 이름보다 더 유명한 것은 이들의 수입이다. 조지 소로스는 그 유명한 퀀텀펀드의 설립자이고 세계 7위의 부자로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다른 사람들도 이에 못지 않다. 대표적으로 2010년 한해 동안 증가한 존 폴슨의 자산가치는 무려 49억달러이다. 원화로 5조3천억원이고 이는 펀드매니저 보수와 본인지분의 자산가치 상승을 포함한 금액이다. 삼성전자의 2010년 순이익이 17조2천억원인데 그것의 약 30% 수준이고, 연봉 5천300만원인 사람 10만 명의 연봉합계와 동일하고, 하루에 145억씩 자산이 증가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게 존 폴슨 한 사람의 1년 수입이다. 자산가치 상승이 포함된 금액이니 순수한 펀드매니저 보수는 아니지만 펀드매니저 보수만도 1조원이 넘을 걸로 예상된다.

그것은 헤지펀드에 성과보수라는 제도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헤지펀드의 보수체계를 보면 수익률 10%까지는 기본보수 2%만 받고, 수익률 10% 초과분에 대해선 그 초과분의 35%만큼 성과보수를 추가로 받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50조 규모의 헤지펀드가 30% 수익률, 즉 15조를 벌었다면 기본보수가 1조(50조의 2%)이고, 수익률 10% 초과분은 20%(30%-10%)이므로 초과수익 10조(50조의 20%)의 35%인 3조 5천억이 성과보수가 되니 총 4조5천억이라는 보수를 떼가는 것이다.

<자료제공=모네타(www.moneta.co.kr) 상담방법모네타 → 재테크칼럼>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