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우리말이 우리의 미래] “국어책임관 1명으로는 부족…팀 수준으로 조직 확대해야”

‘도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 그 후 ④
[인터뷰] 도 국어책임관 김태근 종무과장
도, 국어문화진흥사업 예산 2억으로 증액
감수 범위도 도의원 발의 조례안까지 확대
도내 국어책임관 148명 대상 공공언어 교육
구석구석 자리잡기까지 시간과 노력 더 필요해
팀으로 확대해 지속 홍보하고, 개인 의식도 변화해야

경기도는 지난해 10월 전국 지자체 최초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를 진행하고, 주요 순화 용어 78개를 발표했다. 또한 일회성 감사에 그치지 않고자, 정기 감사제도 정착 등 올바른 공공언어를 쓰기 위한 중장기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지금 도의 공공언어 사용 실태는 얼마나 달라졌을까. 경기신문이 살펴봤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바꾸겠다” 했는데…도 보도자료, 여전히 ‘외국어·한자어’ 투성

② 인프라·글로벌·멘토링 등 관행적으로 쓰는 외국어도 다수

③ ‘스타트업 M&A 교육’·‘DMZ정책과’…사업·부서명 외국어 다듬어야

④ “국어책임관 1명으로는 한계…팀 수준으로 조직 확대해야”

<끝>

 

 

경기도(이하 도)가 지난해 정부 지자체 최초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를 진행했지만, 아쉽게도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가 정착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도의 특정감사는 대외적으로는 '전국 관공서 최초의 감사'이자 ‘민간의 시민과 국어 전문가들을 시민 감사관으로 위촉해 진행한 합동 감사’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었다.

 

그 노력 덕에 도는 지난달 대전에서 열린 ‘11회 국어책임관·국어문화원 공동연수회’에서 문체부 장관 표창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그 수상이 무색할 정도로 특정감사 이후에도 도 보도자료에서는 여전히 외국어·한자어, 로마자·한자 등이 다수 쓰이고 있는 게 현실이다.

 

경기신문이 특정감사 결과 발표로부터 6개월이 지난 올해 5~6월 도가 생산한 보도자료 총 690건을 조사한 결과 75.9%에서 외국어 단어와 낯선 한자어, 일본어 투 용어, 권위적 표현 등 고쳐 쓰기로 한 78개 용어를 순화하지 않고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후’라고 하면 될 것을 ‘향후’로 쓴 한자어와 ‘누리집’으로 충분히 우리말로 쓸 수 있는데 ‘홈페이지’라고 외국어로 쓰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쉬운 우리말로 쓰기로 한 78개 용어 외에도 ‘인프라’(기반, 기반 시설), ‘글로벌’(세계, 세계적, 국제, 지구촌), 매칭(맞춤, 연결, 연계, 대응) 등 불필요하게 외국어를 쓴 경우도 다수로 나타났다. 

 

결국 위에서는 특정감사를 통해 쉬운 우리말로 된 공공언어를 사용하겠다고 천명했지만, 아래인 도 내부 구석구석까지는 그 의지가 뿌리내리지 못한 것이다.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만큼 한 번 자리 잡은 언어를 고쳐 쓴다는 것이 단번에 이뤄질 수 없는 어려운 일이라는 방증이다.

 

이에 도는 지속적인 교육으로 공공언어의 필요성을 직원들이 체화하고, 조직 또는 제도적으로 보다 더 강화할 고민을 하고 있다.
 

도 국어책임관 김태근 종무과장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감사’ 후 올해 국어문화진흥사업 예산을 2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5000만 원 증액하는 등 열의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감수 범위를 도의회 의원들이 발의하는 조례안까지로 확대했다는 점은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김태근 종무과장은 “이전에는 집행부에서 제안하는 자치법규와 의회에 제출하는 조례만이 감수 대상이었다”며 “의원 발의 조례안은 연 100여 건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감사 결과에서 제시된 4가지 개선사항도 지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정기적 감사 제도 정착 ▲포상 제도 방안 수립 및 시행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교육 방안 수립 ▲공공언어 교정 인공지능 장치 개발 및 보급’ 등이 제시됐는데, 국어책임부서인 종무과는 감사를 제외한 나머지 개선사항들을 이행 중이다.

 

포상은 ‘도지사 공무원 포상 계획’에 따라 올 연말에 공공언어 쓰기에 성과를 낸 우수 공무원 2명을 선정해 포상할 예정이다. 

 

교육은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24일까지 도내 국어책임관 74명과 홍보담당자 74명 총 148명을 대상으로 경기문화재단 상상캠퍼스에서 진행했다. 

 

국어책임관은 국어기본법에 따라 그 소속 기관과 지방자치단에에서 국어의 발전과 보급을 위한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다.

 

교육 내용은 국어책임관의 역할과 임무를 살피는 국어책임관 제도의 이해, 국어정책의 현황과 과제, 수어·점자 진흥 등 언어복지 정책의 이해, 공공언어의 이해 등이다.

다만 공공언어 교정 인공지능 장치 개발 및 보급은 도 자체적으로 할 수 없는 사항이기도 해 중앙정부에 지속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 전반에 공공언어 사용이 자리잡는 게 녹록지 않다. 때문에 김 종무과장은 조직과 개인의 노력이 모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선 그는 국어책임관 1명이 관련 업무를 도맡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하며, 관련 ‘조직(팀)’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 과장은 “지금 하고 있는 공공언어 발굴에만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로 알리는 게 중요하기에, 팀 정도의 조직으로 강화해 전 직원들이 공공언어를 쓸 수 있게 장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개인의 의식 변화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그는 “공공언어를 바르게 쓰려는 본인의 노력과 의지가 없다면 아무리 옆에서 시키거나 요청해도 할 수 없다”며 “도에서 발표한 78개 순화어만이라도 지킬 수 있도록 항상 옆에 놓고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쉬운 우리말 쓰기 특별취재팀 / 유연석·배덕훈·정경아·강현수 기자 ]

 

※ ‘우리말이 우리의 미래’는 경기신문, 문화체육관광부, 국어문화원연합회가 함께합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