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고 위험 커진다"...추석 앞둔 건설현장 '속도전'에 안전 '비상'

추석 전후 건설 현장 사고율 급증
연휴 중 현장 관리 공백…화재·재해 취약
“무리한 일정 지양, 안전 최우선 돼야”

 

민족 최대 명절 추석을 앞두고 건설 현장 곳곳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연휴 기간 공사를 멈출 수밖에 없어 공기(工期) 압박이 커지면서, 무리한 작업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장 노동자들의 피로 누적은 곧 안전사고 위험으로 직결되고 있다.

 

건설업계는 추석 전 공정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부담을 호소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장마와 폭염으로 밀린 일정에 연휴 중단까지 겹쳐 지금이 가장 바쁘다”며 “노동자들 역시 연휴 전에 더 많은 임금을 벌기 위해 무리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문가들은 이 시기를 ‘재해 위험 고조기’로 꼽는다. 작업량은 늘고 집중력은 떨어지면서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실제 지난해 추석 전후 한 달 동안 건설업계에서 24건의 사고가 발생했는데, 그 중 8건이 연휴 직전에 집중됐다. 월평균 사고 건수(19.3건)보다 20% 이상 많은 수치다.
 

이 같은 현상은 반복되고 있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0~2022년) 추석 전후 10일 동안 건설·제조·물류업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한 중대재해 건수는 평소보다 평균 20% 이상 높았다.

 

올해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지난 9월 한 달간 건설 현장에서 4건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고, 특히 추석 직전 일주일 사이 시공능력 상위 10대 건설사 현장에서만 노동자 4명이 목숨을 잃었다.

 

연휴 기간 현장이 비는 것도 또 다른 위험 요인이다. 관리 인력이 빠지면 화재·침수 같은 돌발 사고에 즉각 대응하기 어렵고, 임시 시설물은 태풍·폭우에 취약하다.

 

이에 건설사들은 연휴 전 특별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일부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하지만 형식적인 점검에 그치거나 하청업체에 책임을 떠넘기는 관행은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축물은 결국 사람이 짓는 것”이라며 “명절 전후 안전 관리는 매뉴얼 문제가 아니라 노동자를 존중하는 경영 철학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고향에 가지 못한 노동자들에 대한 배려와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발주처의 책임을 함께 지적한다. 무리한 일정 강요를 막고, 명절 전후 집중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노동자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