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올해 1∼8월 건축 착공 면적, 2009년 이후 두 번째로 저조

전국 착공 면적 5043만㎡…전년 대비 17% 감소

 

올해 들어 국내 건축 착공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이후 가장 부진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경기 회복 지연과 투자 위축이 맞물리며 건설 경기 전반의 침체가 장기화되는 양상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7일 발표한 ‘건설 동향 브리핑’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전국 건축 착공 면적은 5043만㎡로 집계됐다. 이는 2009년의 4160만㎡ 이후 16년 만에 두 번째로 낮은 수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 6073만㎡와 비교하면 17% 감소한 수준이다.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1603만㎡(–30.6%), 비주거용은 3440만㎡(–8.6%)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착공 면적은 2770만㎡로 10.2% 감소, 지방은 2273만㎡로 23.8% 감소했다. 수도권은 주거용 착공이 909만㎡(–29.1%)로 급감한 반면, 비주거용은 1860만㎡(+3.2%)로 소폭 늘었다. 지방은 주거용 착공이 693만㎡(–32.6%), 비주거용은 1580만㎡(–19.4%)로 모두 감소했다.

 

전국 건축 착공은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연속으로 줄었다가 6월에는 0.6%, 7월에는 16.5% 증가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8월 들어 40% 급감하며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착공 물량 감소는 향후 1~2년간 공사량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9월 이후 착공이 일부 회복될 수 있으나, 지방은 회복 여력이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방의 착공 부진과 건설 투자 위축은 지역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며 “공공 부문 재정 투입을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산업 전략 사업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