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는 도의회 독도사랑·국토사랑회와 역사바로세우기 경기연대가 중국 상하이 루쉰 공원 내 마련된 윤봉길 의사 기념관을 찾아 윤 의사의 숭고한 희생을 기렸다고 13일 밝혔다.
이들 탐방단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중국을 방문해 광복을 위해 투신한 독립운동가들의 자취를 살펴보고 있다.
중국 탐방 나흘째인 12일 탐방단은 윤 의사의 결연한 의지가 서린 루쉰 공원에서 ‘자주독립’의 역사를 지키고 미래 세대에게 전할 것을 굳게 다짐했다.
최효숙(민주·비례) 경기도의원은 “오늘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93년 전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시간을 영원히 멈춘 한 위대한 청년 덕분”이라고 말했다.
최 도의원은 “윤 의사의 의거는 장제스총통과 중국의 마음을 움직였다”며 “이는 침체됐던 임시정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대한독립의 희망을 되살린 결정적 사건이었다”고 강조했다.
유호준(민주·남양주6) 도의원은 “우리는 본래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이었으며 3·1운동은 ‘대한독립만세’를 외친 비폭력 저항의 위대함을 보여줬다. 그러나 돌아온 것은 일제의 무자비한 학살과 탄압뿐이었다. 평화적인 외침이 총칼에 짓밟히는 것을 목격한 후에야 우리는 깨달을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이어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총을 들고 싸우는 것 외에는 다른 길이 남아있지 않았던 것”이라며 “무력 항쟁은 선택이 아닌 마지막 남은 유일한 생존 수단이었다”고 설명했다.
홍헌영 역사바로세우기 시흥시 대표는 독립 역사 왜곡에 대해 강하게 비판 목소리를 냈다.
홍 대표는 “만약 우리에게 27년간의 치열했던 임시정부의 독립투쟁이 없었고, 윤 의사 같은 분들의 피 끓는 희생이 없었으며, 독립군과 한국광복군의 독립전쟁이 없었다면, 아마 우리의 독립은 강대국이 던져준 ‘선물’에 불과했을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또 “그러나 우리는 피로 쓰인 독립투쟁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다. 우리의 독립은 결코 누군가에게 받은 것이 아니며, 선열들이 목숨을 바쳐 싸우고, 피 흘려 쟁취해 낸 위대한 승리의 역사이다. 이 명확한 진실을 부정하는 것은 선열들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