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31 (수)

  • 구름많음동두천 28.4℃
  • 맑음강릉 33.3℃
  • 구름많음서울 29.1℃
  • 구름많음대전 29.5℃
  • 맑음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많음광주 29.1℃
  • 맑음부산 31.1℃
  • 구름많음고창 30.1℃
  • 구름조금제주 31.8℃
  • 맑음강화 28.2℃
  • 흐림보은 27.4℃
  • 구름많음금산 28.4℃
  • 구름많음강진군 30.3℃
  • 맑음경주시 32.4℃
  • 맑음거제 30.7℃
기상청 제공

온 가족이 즐기는 ‘전통 민속놀이’로 가족의 精 키워보자

 

민족 최대의 명절 설이 다가왔다.조상 숭배와 효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 설은 국민 대부분이 고향을 찾아 떠나고, 같은 날 아침 차례를 올리며, 새 옷을 입는다는 측면에서 단순한 명절이 아닌 공동체의 결속을 강하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이러한 설에 전통 민속놀이는 무엇이 있을까. 이번 설, 우리의 전통 민속놀이에 대해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즐거운 설을 보내는 한 방법이 될 듯하다. <편집자주>



◆ 윷놀이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윷이라는 놀이도구를 사용해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즐기면서 노는 놀이로, 사희(柶戱) 또는 척사희(擲柶戱)라고도 한다. 윷놀이는 윷과 윷판 및 윷말만 있으면 어디에서나 놀 수 있다.

이 간단한 도구가 준비되면 편을 갈라서 윷을 던져 나온 윷패에 따라 윷말을 써서 먼저 4동이 나면 승리한다. 매우 간단한 도구와 단순한 방법으로 놀이를 하지만 놀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변수들이 흥을 돋우기도 하고 탄식을 자아내기도 한다.

윷의 종류는 가락윷·밤윷·콩윷 등으로 구분된다. 가락윷은 장작윷과 싸리윷이 있다. 장작윷은 길이 20㎝ 정도에 직경 3~5㎝ 정도의 소나무 두 개를 쪼개 만들고 싸리윷은 길이 10㎝에 직경 2㎝ 가량의 싸리나무를 쪼개 만든다. 가락윷은 대체로 중부지방에서 많이 가지고 논다.

밤윷은 굵기가 새끼손가락 정도, 길이는 3㎝ 정도 되는 윷을 종지에 담아 손으로 움켜쥐고 흔들어 바닥에 붓는 식으로 논다. 주로 경상도 등의 남부지방에서 많이 논다. 콩윷이나 팥윷은 콩이나 팥알의 절반을 쪼개 만든 윷으로 주로 북부지방에서 많이 논다.

윷판이 언제 만들어져서 보편화됐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고려 말기 이색의 ‘목은집’에 현행의 윷판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고려말 이전에 완성됐음을 알 수 있다.



◆ 널뛰기(跳板戱)

정초에 여자들이 둘로 나눠 긴 널빤지의 중간에 둥근 짚단을 받치고, 양쪽에서 서로 균형을 잡아가며 발로 굴러서 서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을 반복하는 놀이로, 답판(踏板)·도판(跳板)·초판희(超板戱)·판무(板舞)라고도 한다.

승부는 어느 한쪽이 균형을 잃어 널에서 떨어질 때에 정해진다. 주로 정초에 놀지만 경우에 따라 정월 대보름, 첫 용날(상진일, 충북 보은군 외속리면), 정월 16일 귀신날(경기도 지역)과 같이 특정한 날로 국한되기도 한다.

널뛰는 방법은 지방에 따라 다양하다. 일산시 문봉동에서는 보통 양쪽에 한 사람씩 2인이 뛰는데, 한 사람이 가운데에 앉아서 균형을 잡아 준다. 몸무게가 맞지 않을 때에는 몸무게가 적은 사람에게 널을 많이 줘 균형을 이루는데, 이것을 밥을 준다고 한다. 그리고 넘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널을 뛰는 사람에게 1m 정도의 헐거운 줄을 3가닥으로 묶어준다.

놀이에 사용되는 널의 크기는 대체로 길이 2~2.4m, 너비 30㎝, 두께 5㎝ 가량으로, 지방에 따라서 널 양쪽 끝 부분의 땅을 파기도 하고 널이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 가운데에 사람이 앉기도 한다.

널뛰기는 혼인 전의 여성이나 결혼 초의 젊은 부녀자들이 많이 뛰었다. 고양시 행주내동에서는 특이하게도 여자들이 낮에는 거의 뛰지 않고 밤에 뛰었다.



◆ 투호(投壺)

일정한 거리에 병[壺]를 놓고 편을 갈라 병 속에 화살을 던져 넣는 놀이인 투호는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 말까지 성행했으며, 무엇보다 이미 오래된 예법을 실천하는 수단으로 주인과 손님이 술자리를 베푼 자리에서 재예(才藝)를 강론하는 예로써 권장되고 장려됐다.

활쏘기가 덕을 함양하는 수단으로 권장됐던 것과 마찬가지로 투호 역시 마음을 다스리는 데 필요한 수단이었다.

이 점 때문에 왕실을 비롯해 지배층 중심으로 투호가 발달됐다. 특히 왕비를 비롯한 지배층 여성들의 오락 수단이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러한 투호는 근대와 현대시기를 거치면서 일반적인 놀이로 대중화돼 갔다.

일반 놀이로 대중화되면서 투호가 담고 있는 유교적인 예법은 거의 간소화되거나 사라졌다. 오늘날 투호가 명절 때 고궁을 비롯한 어디에서나 전통놀이로 행해지는 것은 이러한 시대의 변화상을 말해준다.

투호를 할 때 쓰는 병의 종류나 크기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화살의 크기 또한 다양하다. 노는 법은 일정한 장소에 둔 병을 향해 일정한 위치에서 살을 던져 병 속이나 귀에 던져 넣은 것으로, 살이 꽂히는 데 따라 득점이 정해진다.

이렇게 해 이기는 것을 현(賢), 지는 것을 불승(不勝)이라 하며 한 번을 일호(一壺)라 한다. 그 점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헌배(獻盃)·벌배(罰盃) 등이 행해진다.



◆ 돈치기

어린아이들이 양지바른 곳에 모여 서로 동전 한 개를 내어 던지고 맞춰서 따먹는 놀이로, 대표적인 명칭은 돈치기이고 더러 엽전(葉錢)치기라고도 한다.

함경도에서는 망치기(북청)·망애치기(이원), 평안도와 황해도지방 보고서에는 망깨 또는 망깨치기라는 이름도 보인다. 이것은 돈치기에 쓰이는 돌을 망돌(북청), 망애돌(이원) 또는 망깨돌이라고 부르는 데서 생긴 명칭으로 보인다.

이 놀이는 2~3명에서 7~8명까지 사람들이 모였을 때에 더욱 재미있는 놀이가 된다. 인원수대로 구멍 앞 3~4m 지점의 가로 그은 선 위에서 동전 한 개씩을 던지고 구멍에 들어간 사람이 첫 번째가 되고 구멍에 더 가까운 사람 차례로 다음 순번들이 정해진다.

차례가 된 사람은 동전을 다 거둬 쥐고 구멍에 던져서 들어간 것은 가지고, 다음은 동료가 지적하는 돈을 납작한 돌로 맞히는 대로 가진다. 못 맞히면 다음 순번으로 넘어가되, 잘못 맞히면 벌금을 내는 수도 있다.

함경도에서는 구멍을 파는 대신 돌을 놓고 그 돌에 가장 가깝게 돈을 던진 사람 순으로 순번이 정해진다는 점에서 큰 지역차를 보이는 사례가 된다.



◆ 장치기

나무 막대기를 이용해 공을 치는 놀이로, 한자로 타구(打毬)·격구(擊毬)·격방(擊棒)·방희(棒戱)·농장희(弄杖戱)·장구(杖球)라고도 쓴다.

장치기는 놀이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채막대기로 구멍에 공을 쳐 넣는 방식으로 현재 골프와 비슷한 형태이다.

둘째, 말을 타고 공을 쳐 구문에 공을 넣는 방식으로 흔히 격구 또는 기마격구라고 한다. 현재 서양의 폴로와 유사한 형태이다.

셋째, 말을 이용하지 않고 땅 위에서 공을 쳐 구문에 넣는 방식이다. 현재 필드하키와 흡사한 형태이다.

이처럼 한국 역사 속에서는 다양한 장치기가 존재해 왔다. 그 가운데 오늘날까지 민속놀이로 계승돼 발전하고 있는 형태가 바로 땅 위에서 행하는 장치기이다. 장치기는 주로 겨울철에서 봄 사이나 농한기, 특히 음력 정초를 전후한 시기에 청소년을 비롯한 남성들의 경기로 많이 행해졌다.

경기를 시작할 때는 각 팀의 주장이 한 명씩 나와서 중앙선의 구멍 앞에서 땅공(공을 허공에 던져 놓고 치는 공)을 쳐서 공이 멀리 날아간 편이 첫 공인 구멍공(원의 중심에 파놓은 구멍에 놓고 치는 공)을 쳐서 놀이를 시작하고, 다음부터는 진 편이 첫 공을 친다. 공이 구문으로 들어가면 한 점을 얻는다. 양 팀이 서로 작정함에 따라 5점 나기, 10점 나기로 정하고, 먼저 난 편이 이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