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는 행정안전부가 추진 중인 ‘주소로 안전한 나라, 주소로 편리한 나라’ 비전과 발맞춰 시민안전과 생활편의를 위해 촘촘한 주소정보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건물이 없는 시설과 장소에도 ‘사물주소판’과 ‘기초번호판’을 설치하고, ‘QR코드’를 활용한 위치안내 체계를 구축하는 등 정확한 주소 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있다. 시는 주소가 부여되지 않았던 시설과 도로에 ‘사물주소판’과 ‘기초번호판’을 설치하며 고유 주소를 부여하고 있다. 도로명주소가 건물 중심으로 부여돼 정확한 위치 전달이 어려웠던 한계를 보완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위치정보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올해는 응급상황 시 신속한 구조지원을 위해 민방위대피시설, 어린이공원, 버스정류장, 택시승강장, 소공원, 비상급수시설 등 746개소에 사물주소판을 설치하고, 도로변 등 862개소에는 기초번호판을 부착했다. 또한, 시민들이 자주 찾는 북한산국립공원, 호수공원 자전거길·공릉천자전거1길 등 여가공간에도 기초번호판을 설치했다. 야외활동 중 사고나 조난이 발생했을 때 정확한 위치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아울러, 가로등이나 지주가 없는
KDB생명이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에서 업계 최고 성적을 거뒀다. KDB생명은 금융위원회 주관 ‘제30차 보험약관등 이해도 평가’에서 79.8점을 기록해 생명보험사 19곳 중 1위를 차지했다고 10일 밝혔다.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는 소비자가 약관과 상품설명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제도다. 명확성·평이성·간결성 등 정량 항목과 소비자 친숙도 등 정성 기준을 전문가·일반인 심사단이 종합 심사해 점수를 매긴다. 연금·생사혼합보험을 판매하는 19개 생보사를 대상으로 대표 상품을 평가했으며, 등급은 우수·양호·보통·미흡으로 나뉜다. 이번 평가에서는 양호 13개사, 보통 6개사가 선정됐다. KDB생명은 이번 평가 대상 상품인 ‘(무)KDB연금보험’ 약관과 상품설명서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제25차·제27차 평가 1위에 이어 최상위권을 유지했다. 특히 전문 용어를 쉽게 바꾸고 시각 자료를 확대하는 등 약관 가독성과 고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을 지속해 온 점이 주목받았다. KDB생명 관계자는 “금융소비자 보호 관점을 바탕으로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해 온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며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해 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안내체계를 지속 향상시키겠다”고
우리 사회의 중장년은 흔히 ‘경제의 허리’로 불린다. 일터에서는 조직의 중추로, 가정에서는 부모와 자녀를 동시에 부양하는 세대다. 그러나 그들의 현실은 무겁고 고단하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40대의 평균 가계대출은 1억 2100만 원으로 전 세대 중 가장 높다. 통계청 자료에서도 50대의 실질 근로소득은 최근 3년간 평균 6% 감소했고, 체감 실업률은 4.6%에 달한다. 소득은 줄고 빚은 늘어가는 이중고 속에서 ‘허리 세대’는 점점 휘청이고 있다. 경제적 어려움은 곧 심리적 불안으로 이어진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4년 40대의 자살률은 10만 명당 29.8명, 50대는 31.2명으로 전 세대 중 가장 높았다. 이들은 가족을 위해 버티는 책임감의 상징이지만, 그만큼 깊은 외로움과 피로 속에 놓여 있다. 그럼에도 복지정책의 초점은 여전히 청년층과 노년층 중심으로 맞춰져 있고, 중장년층은 정책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의원은 지난 2025년 8월 21일 ‘포천시 중장년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고, 9월 5일 포천시의회 제187회 임시회에서 원안가결됐다. 이 조례는 중장년이 단순한 복지 수혜자가 아니라, 지역사회